Water Quality of the Environmental Water at Chinju Area

진주시 일원에 산재하는 환경수의 수질

  • KIM Yong-Gwan (Department of Food Processing, Pusan Junior College) ;
  • KOH Kwang-Bae (Department of Food Processing, Pusan Junior College) ;
  • HA Bong-Seuk (Department of Nutrition and Food Science, College of Natural Science, K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김용관 (부산전문대학 식품가공과) ;
  • 고광배 (부산전문대학 식품가공과) ;
  • 하봉석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1987.03.01

Abstract

The physical properties, coliform groups, and nutrients were investigated to evaluate the sanitary Quality of the environmental water at Chinju area from May to October, 1986.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pH ranged from 5.4 to 7.8 : water temperature ranged from 12.0 to $30.3^{\circ}C$ : electrical conductivity ranged from $0.51\times10^2\;to\;8.095\times10^2\mu\mho/cm$; chloride ion ranged from 3.6 to 126.8 mg/l, respectively. Especially, the concentration of the chloride ion at St.9 was 109mg/l which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s. The $NO_3^--N$ ranged from 0.2336 to 14.1648 mg/l and the mean value was 5.4774 mg/l, the concentration of $NO_3^--N$ at St. 2 was higher as 40 times than that of St.4. The $PO_4^{3-}-P$ ranged from 0.0013 to 0.8315 mg/l, and the mean value was 0.0745 mg/l, the concentration of$PO_4^{3-}-P$ at St.8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s. The $SiO_2-Si$ ranged 1.7 to 15.28 mg/1 and the mean value was 5.81 mg/l. The value of St.8 and St.9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stations but this value were lower $10\~13\;mg/l$ than the criterion for drinking water as 50 mg/l. The bacterial density of the spring waters ranged 9.1 to 4,600/100 ml (geometric mean : 205/100 ml) for total coliform 0 to 4s0/100 ml and 28.2/100 ml for fecal coliform. Composition of coliform was $38.2\%$ Escherichia coli, $25\%$ Entrobacter aerogenes, $13.2\%$ Citrobecter freundii and the others.

진주시내에 산재하는 약수터 6개소, 우물 및 펌프수 2개소, 상수도 1개소, 강수 3개소 등 총 12개소를 선정하여 이의 수질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1986년 5월부터 동년 10월사이에 6회에 걸쳐 72개 시료로서 이들의 물리적 성질, 영양염류및 염화이온 농도, 위생지표세균에 대한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H의 변화범위는 $5.4\~7.8$였으며, 약수는 평균 6.4로서 미 산성수였다. 수온은 $12.0\~30.0^{\circ}C$로서 큰 폭으로 변하였으며, 약수는 $20^{\circ}C$를 상회였다. 전기전도도는 $0.51\times10^2\~8.095\times10^2\;\mu\mho/cm$로서 타 지역보다 높게 나타 났었다. 2. 약수나 우물물에서는 아질산성 질소와 암모니아성 질소가 동시에 검출되지 않았으며 강수의 경우는 하수의 유입으로 향할수록 농도가 높아졌다. 질산성 질소의 농도는 $0.2336\~14.1648mg/l$였으며, 특히, 지점 2가 지점 4에서 보다 40배 이상으로 월등히 높았다. 인산성 인은 $0.0013\~0.8315mg/l$로 지점별 차이가 있었으며, 지점 8은 평균 0.6177mg/l로 높은 농도였다. 규산성 규소는 $1.7\~15.28mg/l$ 였으며, 지점 8과 9에서 평균 $10\~13mg/l$로서 높았으나, 기준치 50ppm에는 미달되었다. 염화이온 농도는 3.6\~126.8mg/l였고 강수는 낮은 온도였다. 특히, 지점 9에서는 지하 140m 지하수로서 염화이온 농도가 109mg/l로 높게 나타났었다. 3. 오염지표세균의 분포범위는 약수의 경우, 대양균군은 $9.1\~4,600/100ml$, 분편계대장균은 $0.460/100ml$로서 상수 수질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나났다. 지점 11과 12의 강수는 대장균군이 $4,300\~460,000/100ml$, 분편계대장균이 $2,300\~110,000/100ml$로서 극심한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4. Escherichia coli는 분리 동정된 68균주중 $38.2\%$(26 균주)로 높게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