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만의 유종섬모충류와 와편모류간의 포식-피포식 상관관계에 대하여

On the Trophic Correlation between Tintinnids and Dinoflagellates in Masan Bay, Korea

  • 발행 : 1987.05.01

초록

적조의 다발해역으로 알려진 마산만 일대의 2개 정점에서 1981년 1월부터 1982년 12월까지 유종섬모충류와 와편모류의 현존량을 월별로 조사하여 이들 변동과 포식-피포식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와편모류의 우점종은 주로 $20-60\;{\mu}m$의 크기로서 Gymnodinium, Prorocentrum 속 등이었으며, 특히 봄에서 여름에 걸쳐 대발생을 보였다. 한편 유종섬모충류는 Favella가 압도적으로 우점하였으며 이들은 같은 시기에 현존량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들의 중상관분석의 결과로 Favella는 와편모류중 $40-60\;{\mu}m$크기의 종류들과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Prorocentrum 등이 우점한 정점 1보다는 Gymnodinium, Protogonyaulax등 크기가 큰 종류들이 우점한 정점 2에서 더 높은 중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로서 유종섬모충류와 와편모류간에는 크기 및 형태에 의한 먹이 선택성을 인정할 수 있었으며 이들은 연안역의 저차생산단계에서 포식${\cdot}$피포식 상관관계를 통하여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고 사료된다.

The correlation between tintinnid and dinoflagellate by means of seasonal variation of standing crops was investigated at two selected stations in Masan Bay, well-known as a red tide zone in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1981 to December 1982. The most dominant dinoflagellates mainly belonged to $20-60\;{\mu}m$ of size class, and Gymnodinium and Prorocentrum were predominant from spring to summer season. Of tintinnid, Favella spp. were most dominant and associated with dinoflagellate blooms at the same season. Especially, Favella spp. were most positively correlated with $40-60\;{\mu}m$ size class of dinoflagellate, and also represented higher multiple corrleation with outer station (St.2), comprising relatively large species of Gymonodinium and Protogonyaulax, than with inner station (St. 1), dominated by Prorocentrum blooms. Thus, the interspecific food selection by size and morphology between tintinnid including Favella and dinoflagellate is recognized and it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fluenecing on the prey-predator relationship in lower trophic level in the surveyed area.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