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 between the Catches of Tuna and Oceanographic Conditions in the South-East Pacific

남동 태평양의 참치 어획양과 해양환경과의 관계

  • CHO Kyu-Dae (Department of Oceanograph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KIM Yun-Ae (Department of Oceanograph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PARK Sung-Woo (Department of Oceanograph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KIM Jae-Chul (Dongwon Industries Company) ;
  • PARK Jae-Chul (Youjin Industries Company)
  • Published : 1987.07.01

Abstra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tches of tuna and hydrographic conditions in South-East Pacific region (latitude $5^{\circ}N-12^{\circ}S$, longitude $135^{\circ}W-115^{\circ}W$) was investigated by using the catch data of tuna and Digital Bathythermograph (DBT) data from December 9, 1980 to April 2, 1981. The results are as follows : The study area were located in South Eguatorial Current regions including equatorial upwelling regions in $5^{\circ}N\;to\;12^{\circ}S$. The horizontal mean temperature at the depth of 10m on the first quarter months in the study area was about $25^{\circ}C$C and the salinity of those fishing areas ranged from 34.8 to $35.0\%_{\circ}$. Yellowfin tuna and bigeye tuna were mainly caught in SW vertical temperature profile type, which the depth of thermocline ranged from loom to 300m, and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rmocline was about $12^{\circ}C$. The deeper the depth of thermocline, the more the catches of tuna. While albacore tuna was caught well in SS vertical temperature profile type which the temperature of thermocline ranged from $9^{\circ}\;to\;26^{\circ}C$ and its gradient was very smooth. The depth of 1 ml/l surface of dissoved oxygen content ranged from loom to 200m in the South-East Pacific between longitude $140^{\circ}W-100^{\circ}W$, but it was shallower than 100 m near the North-South American continent. The catches of bigeye tuna were larger than those of yellowfin tuna in South Equatorial Current region. As approaching to the South and North American continent, the catches of yellowfin tuna and bigeye tuna decreased because the thermocline becomes shallower and steeper and the depth of the 1 m1/1 surface of dissolved oxygen content became shallower.

남동 태평양의 위도 $5^{\circ}N\~12^{\circ}S$, 경도 $115^{\circ}$ 해역에서 1980년 12월 9일부터 1981년 4월 2일에 걸쳐 조업한 참치 어장 야장과 DBT 기록 테이프를 정리여, 어획된 해구의 각 정점마다의 수온 연직 구조 및 남동 태평양의 해양 환경과 그에 따른 어획물 포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조업이 행해진 해역은 위도 $5^{\circ}N\~12^{\circ}S$의 적도 용승역을 포함하는 남적도 해류역이였으며, 이 해역의 1, 2, 3월의 깊이 10m의 수온 수평분 포도를 살펴보면 거의 모든 해역의 온도가 $25^{\circ}C$ 정도임을 알 수 있다. 또, 위 해역의 염분은 $34.80\~35.00\%_{\circ}$ 였다. 한편 위 해역에서 눈다랑어와 황다랑어는 수온 약층의의 상부 수심 100m 정도에서 수온 약층 하부 수심 300m 까지의 수온차가 약 $12^{\circ}C$ 정도되는 SW type의 수온 연직 구조에서 주로 어획이 되었고, 수온 약층의 깊이가 깊을 수록 어획량이 많아지고 있다. 또한 날개다랑어는 온도 $8\~26^{\circ}C$이며 수심 50m 간격간의 수온 차가 약 $2.5^{\circ}C$로 균일한 변화를 나타내는 가장 완만한 형태인 SS type의 수온 연직 구조에서 주로 어획이 되었다. 그리고 눈다랑어의 최소한의 산소 요구량인 1ml/l 등양면의 깊이는 $140\~100^{\circ}W$에서는 주로 $200\~100m$ 수심이며 $110^{\circ}W$에서 부터 남미대륙쪽으로갈수록 등양면(1ml/l)의 길이는 100m 정도로 낮아진다. 어획량의 수평 분포를 살펴보면 남적도 해류역에서 눈다랑어가 황다랑어 보다 더 많이 어획되었다. 그리고, 남북미 대륙쪽에 가까와질수록 주 수온 약층 아주 얕아지고 그 기울기가 급하게 되며, 또 1ml/l 용재 산소 등양면의 깊이가 낮아질수록 황다랑어와 눈다랑어의 어획량이 줄고 있음을 고찰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