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약(農藥)이 토양(土壤) 미생물상(微生物相)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 -I. 살균(殺菌)·살충제(殺蟲劑)가 토양중(土壤中)의 미생물(微生物), 토양호흡(土壤呼吸) 및 효소활성(酵素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Pesticides on Soil Microflora -I. Effects of pesticides on Microflora, Soil Respiration and Enzyme Activity in Soil

  • 김광식 (전남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 김용웅 (전남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 이명철 (전남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 김현우 (전남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Kim, Kwang Sick (Dept. of Agricultural Chemistry College of Agriculture Chonnam National Univ.) ;
  • Kim, Yong Woong (Dept. of Agricultural Chemistry College of Agriculture Chonnam National Univ.) ;
  • Lee, Myung Chul (Dept. of Agricultural Chemistry College of Agriculture Chonnam National Univ.) ;
  • Kim, Hyun Woo (Dept. of Agricultural Chemistry College of Agriculture Chonnam National Univ.)
  • 발행 : 1987.12.30

초록

농약(農藥)의 사용(使用)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농약(農藥)이 토양(土壤) 환경(還境)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살펴보기 위하여 살균제(殺菌劑)로는 Isoprocarb, Captan을 살충제(殺蟲劑)로는 Carbofuran, Propoxur, Acephate를 사용(使用)하여 이들 농약(農藥)의 처리(處理) 후(後) 토양(土壤) 호흡(呼吸), 미생물상(微生物相), 토양(土壤) 효소(酵素)와 연작지(連作地)에서 병원성(病原性) 미생물(微生物)의 경시적(經時的)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하여 얻은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농약(農藥)의 처리(處理)에 의하여 토양호흡이 저해(沮害)되었으나 그 정도는 크지 않았고 Propoxur $10{\mu}g/g$ 처리(處理)에서는 대조구(對照區)보다 조금 증가(增加)했으며 토양미생물(土壤微生物)에 대(對)하여는 처리초기(處理初期)의 짧은 기간(期間)동안은 균수(菌數)가 감소(減少)하였으나 배양일수(培養日數)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점차 증가(增加)되는 경향(傾向)이었다. 그러나 Captan 처리구(處理區)에서는 세균수(細菌數)가 배양(培養) 60일(日)에도 상당한 감소(減少)를 보였다. 토양미생물(土壤微生物)과 호흡량(呼吸量)과의 관계에서 일반적(一般的)으로 유의성(有意性)이 있는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냈으며 특히 세균(細菌)의 경우 1%수준(水準)에서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을 나타냈다. 토양효소(土壤酵素)에 대(對)한 영향(影響)은 초기(初期)의 짧은 기간(期間)동안 비교적(比較的) 활성(活性)의 저해(沮害)가 컸으나 시일(時日)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증가(增加)되는 경향(傾向)이었다. Carbofuran 처리구(處理區)에서는 20일(日) 및 30일배양(日培養)에서 대조구(對照區)보다 polygalacturonase의 활성(活性)이 증가(增加)되었으며 ${\beta}$-glucosidase는 살충제(殺蟲劑) 처리구(處理區)에서 10일(日)째에, dehydrogenasg 활성(活性)은 Carbofuran 및 Propoxur 처리구(處理區)에서 60일(日)째에, 그리고 Acephate는 20일(日)과 60일(日)에 각각 대조구(對照區)보다 활성(活性)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phosphatase의 활성(活性)은 유기인제(有機燐劑)인 Propoxur 및 Isoprocarb 처리구(處理區)에서 배양(培養) 60일(日)에 저해(沮害)를 나타났다. 토양미생물(土壤微生物)과 효소활성(酵素活性)과의 관계에서 일반적(一般的)으로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였으며 특(特)히 Carbofuran의 경우 1%수준(水準)에서 고도의 유의성(有意性)을 나타냈다. 연작지토양(連作地土壤)에서 Fusarium 속균(屬菌)은 전체적(全體的)으로 배양(培養) 60일(日)에 균수(菌數)의 감소(減少)를 보였고 Pythium 속균(屬菌)은 Isoprocarb와 Acephate 처리구(處理區)에서는 증가(增加)를 하였으나 Propoxur와 Captan 처리구(處理區)에서는 배양(培養) 60일(日)에 현저한 균수(菌數)의 감소(減少)를 나타냈다. 앞으로 농약(農藥)의 분해산물(分解産物)들의 토양미생물(土壤微生物)에 대(對)한 영향(影響)과 연작지토양(連作地土壤)에서 다른 약제(藥劑)의 잔류(殘留)에 의(依)한 영향(影響)등 지속적(持續的)인 연구검토(硏究檢討)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sticides on soil respiration, microflora and enzymes in loam soil, and on pathogenic microorganisms in continuous pepper cropping soil.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No significant effect of pesticides on soil respiration was shown, with the exception of propoxur which slightly increased at $10{\mu}g\;g^{-1}$ treatment. When pesticides were treated, the amount of soil microorganisms generally decreased at the early stage of incubation and the number of microflora was much more decreased at 60-day incubation. When pesticides were treated, the amount of soil enzyme activity was inhibited at the early stage of incubation and gradually recovered at the last stage of incubation. The amount of polygalacturonase activity was increased at the 20-and 30-day incubation in propoxur treatment plot. The amount of ${\beta}$-glucosidase and dehydrogenase activity was increased at 20-and 60-day incubation in carbofuran and acephate treatment plot. The amount of phosphatase activity was increased at 60-day incubation in propoxur and isoprocarb treatment plot. The amount of Fusarium generally decreased in continuous pepper cropping soil, with the exception of isoprocarb and acephate treatment plot which significantly increased. The amount of Pythium increased at 60-day incubation with the exception of captan treatment plot which significantly decreased.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전남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