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stributions of SO4-2 in the Cultivating Soils of Garlic

마늘 재배지토양중(栽培地土壤中) SO4-2의 분포(分布)

  • 장기철 (경북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 장상문 (경북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 최정 (경북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Published : 1987.12.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on the application of S-fertilizer in the cultivating soil of Garlic. The distributions of cation and anion according to the soil depth in paddy field were examined. The average $SO_4{^{-2}}$ contents of surface and subsoil were 72.1 ppm and 45.1 ppm in paddy soils, and 53.1 ppm and 19.5 ppm in upland soils, respectively. In paddy soils, the contents of $SO_4{^{-2}}$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o the contents of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exchangeable K, Ca, Mg and Fe. Whereas in upland soils, the contents of $SO_4{^{-2}}$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o the contents of organic matter and total nitrogen in surface soils. The exchangeable Ca and Mg contents were found to be higher with soil depth, however, the K contents was found to become very low. The $SO_4{^{-2}}$ contents was found to be higher with soil depth, indicating that $SO_4{^{-2}}$ should be leached from surface soils by percolated water.

황(黃)의 시비체계(施肥體系)에 대(對)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경북도내(慶北道內)의 마늘재배지(栽培地) 답(畓)과 전토양(田土壤)을 표토(表土)와 심토(心土)로 구분(區分)하여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性質) 및 이들과 $SO_4{^{-2}}$ 함량(含量)과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하였다. 토양중(土壤中)의 $SO_4{^{-2}}$ 평균함량(平均含量)은 표토(表土) 및 심토(心土)에서 각각(各各) 답토양(畓土壤)의 경우 72.1 및 45.1ppm, 전토양(田土壤)의 경우 53.1 및 19.5ppm이었다. 답토양(畓土壤)의 경우 $SO_4{^{-2}}$ 함량(含量)은 표토(表土)에서 유기물(有機物), 전질소(全窒素) 및 치환성(置換性) 가리함량(加里含量)(1%) 치환성(置換性) Ca 및 Mg의 함량(含量)(5%), 심토(心土)에서 치환성(置換性) Ca, Mg, 및 Fe의 함량(含量)(1%), 전질소함량(全窒素含量)(5%)과 각각(各各) 정(正)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다. 전토양(田土壤)의 경우 $SO_4{^{-2}}$ 함량(含量)은 표토(表土)에서 유기물(有機物) 및 전질소함량(全窒素含量)(5%)과는 정(正)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으나, 그 외의 화학성(化學性)과는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Ca^{{+}{+}}$$Mg^{{+}{+}}$ 함량(含量)은 토심(土深)이 깊어질수록 증가(增加)하였지만, $K^+$ 함량(含量)은 표토(表土)에 비(比)하여 토심(土深)이 깊어질수록 급격히 감소(減少)하였다. $SO_4{^{-2}}$는 1m 깊이 까지는 많은 양(量)이 존재(存在)하였으나, 유효인산(有效燐酸)은 표토(表土)에 비(比)하여 토심(土深)이 깊어질수록, 급격히 감소(減少)하였으며 토심(土深) 60cm 이상에서는 극미량(極微量)의 유효인산(有效燐酸)만이 존재(存在)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