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mutagenicity of the Enzymatic Browning Reaction Products Which Obtained from Prunus salicina (yellow) Enzyme and Polyphenol Compounds

재래종 황색자두효소 갈변반응 생성물의 돌연변이 억제작용

  • Ham, Seung-Shi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Kangweon National Univ.)
  • 함승시 (강원대학교 식품공학과)
  • Published : 1987.03.30

Abstract

The mutagenicity and desmutagenicity on enzymatic browning reaction products which obtained from prunes salicina (yellow) enzyme and polyphenol compounds were carried out. In the rec-assay on Bacillus subtilis strains H17 and M45, the enzymatic browning reaction products of pyrogallol, hydroxyhydroquinone, 3,4-dihydroxytoluene and catechol of $10^{-2}M$ did not showed mutagenicity. In the effects of various metal ions on the rec-assay, the enzymatic browning reaction products of pyrogallol showed mutagenic activity by $Fe^{3+},\;Mn^{2+},\;Zn^{2+},\;Ni^{2+}$ and $Al^{3+}$. In the enzymatic browning reaction products of hydroxyhydroquinone, $Cu^{2+},\;Mn^{2+}$ and $Pb^{2+}$ were effected in mutagenic action and the enzymatic browning reaction products of catechol was effected in mutagenic action by $Mn^{2+}$. In the DNA-breaking action of enzymatic browning reaction products of pyrogallol, hydroxyhydroquinone, 3,4-dihyroxytoluene and catechol did not show, DNA-breaking action. In the effects of various metal ions on the DNA-breaking action of enzymatic browning reaction products, $Cu^{2+}$ showed DNA-breaking action. In the mutagenicity test on Sal. typhimurium strains TA98 and TA 100 with S-9 mix, 4 kinds of browned substances did sot shove muragenicity, all the browned substances showed strong desmutagenic activity in the presence of benzo $({\alpha})-pyrene$ with S-9 mix.

재래종 황색계자두 효소와 4종류의 polyphenol 화합물과 반응시켜 얻어진 효소적 갈변반응 생성물에 대하여 변이원성 및 변이원 억제작용에 관한 실험결과 B. subtilis H17과 M45 두 균주를 이용한 rec-assay에서 4종류의 갈변반응 생성물 모두 변이원성은 없었다. rec-assay에서 금속이온의 영향을 실험한 결과 pyrogallol의 갈변반응 생성물의 경우 $Fe^{3+},\;Mn^{2+},\;Zn^{2+},\;Ni^{2+}\;Al^{2+}$에서 약한 영향을 받았으며 hydroxyhydroquinone의 갈변반응 생성물에서는 $Cu^{2+},\;Pb^{2+}$, 그리고 catechol의 갈변반응 생성물에서는 $Mn^{2+}$ 공존하에서 약한 영향을 받았다. DNA절단실험 결과 갈변반응 생성물 자체에 의해서는 4종류의 시료 모두 DNA절단능력은 없었다. 금속이온의 영향에서는 $Fe^{2+}$의 경우 그 자체에 의해 절단되었으며 $Cu^{2+}$은 DNA 절단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9 mix를 첨가한 돌연변이 유발실험에서는 4종류의 갈변반응 생성물 모두 농도증가에도 변이원성은 없었으며 변이원 물질인 $benzo\;{\alpha}\;pyrene$에 대한 돌연변이원 억제반응에서는 4종류의 갈변반응 생성물 모두 농도증가에 따라 대조구에 비해 강한 억제작용을 나타냈다. 따라서 재래종 황색계 자두로부터 추출한 polyphenol oxidase와 4종류의 polyphenol 화합물과 반응시켜 얻어진 효소적 갈변반응 생성물의 들연변이원성 실험결과 갈변반응 생성물자체에 의한 돌연변이원성은 없었으며 금속이온의 영향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강력한 발암물질인 $benzo\;{\alpha}\;pyrene$을 사용한 돌연변이 억제실험에서는 4종류의 갈변반응 생성물 모두 강한 돌연변이 억제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