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사진(地上寫眞)에 의한 삼차원변형측량(三次元變形測量)의 신뢰도(信賴度) 분석(分析)(기일(其一))

Reliability Analysis of the Three-Dimensional Deformation Measurement by Terrestrial Photogrammetry

  • 투고 : 1987.10.05
  • 발행 : 1987.12.31

초록

지상사진측량(地上寫眞測量)에 의한 3차원변형해석(次元變形測量)은 표정점(標定點)에 대한 3차원좌표(次元變座標)를 계산하고 이들 좌표로부터 변위(變位)를 구하므로써 변형해석(變形測量)을 하게 된다. 지상사진측량(地上寫眞測量)에 의한 변형해석(變形測量)은 3차원좌표(次元變座標) 획득과 변위점검출(變位點檢出) 및 변형량추정(變形量推定)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처음단계로 번들조정법에 의한 좌표계산에서 지상기준점수(地上基準點數)와 사진수(寫眞數)의 증가에 따른 외부표정요소(外部標定要素)의 분산(分散)-공분산행렬(共分散行列)변화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지상기준점(地上基準點)의 정확도(正確度)를 향상시키기 위한 제약조건을 주기위해 번들조정법에 자유강조정(自由鋼調整)개념을 도입하였다. 이상의 결과분석으로부터 경제성과 시간절약의 측면을 고려할때 지상기준점수(地上基準點數)는 6점(點), 사진수(寫眞數)는 3개가 적합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번들조정에 자유강조정(自由鋼調整)개념을 적용한 경우 공간거리의 제약조건을 외곽에 분포시키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The 3-dimensional deformation measurement by the terrestrial photogrammetry is consist of 3-dimensional coordinates computation, displaced point detection and deformation estimation of object targets. In this study, at the first step of deformation analysis, the variation of the variance-covariance matrix for the exterior orientation elements was analyzed by the increment of the ground control points and the photos in the Bundle adjustment. And then, to give the constraints for improving accuracy of ground control points, the concept of Free-Network adjustment was applied to Bundle adjustment. As a result, we knew that it was desired in the accuracy and the economy, the observation time when the numbers of ground control point and photo were respectively 6 points and 3 photos. In addition, in the case of applying the concept of Free Network adjustment in Bundle adjutment, it was desirable that the space distance for the constraints is distributed outside.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문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