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Application of Remote Sensing Technique to Forestry

임업(林業)에 있어서 원격탐사술(遠隔探査術)의 적용방법(適用方法)에 관(關)한 연구(硏究)

  • Kim, Kap Duk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ional Univ.)
  • Received : 1987.03.16
  • Published : 1987.03.31

Abstract

The various conditions of photographs, especially kinds of films, combinated filters and seasons are important factors for forestry purpose aerial photography. In this paper the variations of tones were compared between color and color infrared, panchromatic black and white and infrared black and white, and among false color photographic images created by using 3 kinds of filters when prints are made. Color infrared film was good for identifying tree species, for its spectral signatures had a greater range of tones and hues than color signatures. In that case taken in May were more effective than taken April. False color photographs were not so good as color photographs because they were mostly dark and indistinct. Infrared black and white film with medium red filter showed potential for separating broad-leaved forests from conifers. MSS composed photographs, when composed with proper bands and densities, were proved useful for distinguishing land use types but not applicable to more detailed practices such as forest type separation and tree species identification.

항공사진(航空寫眞)의 촬영시(撮影時) 사용(使用)되는 필름과 필터의 결합(結合), 그리고 촬영시기(撮影時期)에 따른 색조(色調)의 변화(變化)가 임업목적(林業目的)에 어떻게 이용(利用)될 수 있는가를 조사(調査)하였다. 적외색사진(赤外色寫眞)에서는 색조차이(色調差異)에 의해 수종구분(樹種區分)을 할 수 있었으며, 이때는 5월(月)에 촬영(撮影)한 사진(寫眞)이 4월(月)에 촬영(撮影)한 사진(寫眞)보다 잎의 반사특성(反射特性)이 두렷하게 나타나 효과적(効果的)이었다. 위색사진(僞色寫眞)은 천연색사진(天然色寫眞)에 비(比)해 전체적으로 어둡게 나타나 대상물(對象物)의 식별(識別)이나 식생구분(植生區分)에 이용(利用)하기에는 부적당하였다. 흑백적외선사진(黑白赤外線寫眞)은 적색(赤色)필터와 결합(結合)하여 혼효림(混淆林)에서 활엽수(闊葉樹)를 구분(區分)하는데 용이하게 이용(利用)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MSS 합성사진(合成寫眞)을 만들었을 때 적절하게 밴드가 조합(組合)된 합성사진상(合成寫眞像)에서 토지이용형태구분(土地利用形態區分) 가능하였다. 그러나 임상구분(林相區分)이나 수종판독(樹種判讀) 등(等)보다 세부적인 구분조사(區分調査)는 MSS 사진(寫眞)의 지상분해능(地上分解能)이 낮아 효과적(効果的)이지 못하였다. MSS 사진(寫眞)을 임업(林業)에 활용(活用)하는 문제(問題)는 앞으로 새로운 센서가 개발 이용(利用)되고 위성자료(衛星資料)를 분석(分析)하고 해독(解讀)하는 정밀한 기재가 확보되면 큰 진전이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과학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