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Various Vernalization Duration and Growth Habit on Ear Primordium Development and Heading Date in Barley

보리의 파성정도가 유수분화 및 출수기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1987.09.01

Abstract

Seven barley varieties were tested under three different vernalization durations for observing the effects of vernalization duration and different growth habit on shoot apex development and heading date. The final leaf number per main stem in 3 and 6 weeks vernalized seedlings did not vary among varieties, but ranged 7 to 14 leaves in non-vernalized seedlings. The winter types had more leaves than the spring types. Days for each leaf emergence in non-vernalization were retarded 1. 3 to 1. 5 days in comparison with 3 or 6 weeks vernalized seedlings. In general, the leaf emergence speed of spring types was faster than that of winter types. The VI stage whose double ridge formed, did not vary in 6 weeks vernalization, but spring (Gangbori & Dongbori 2) and facultative or winter types showed two conspicuous difference patterns. The differences of days to X stage were great among different vernalization duration and varieties; the stage of spring types was reached faster than that of winter types. The early varieties within the same growth habit were reached to X stage faster, and the time of flag leaf emergence showed the similar tendency to the differentiation of X stage. The time of the first rapid stem internode elongation became late as for incompletely vernalized seedlings. The time within the same vernalization duration became later in winter types than in spring types, and even within the same growth habit, the time of early varieties became faster than that of late varieties. The growth habit in especially non-vernalized seedlings had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the times of leaf development speed, leaf number per main stem, the first rapid stem internode and young spike elongations, X stage, and flag leaf emergence.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habit and time of heading in the field was not close.

파성소거정도가 보리의 유수분화 및 출수기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파성이 다른 7개 보리품종의 최아종자를 3주 및 6주간 저온처리후 온실에 이식하여 온도 20/ 15$^{\circ}C$, 24시간 일장조건에서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3주 및 6주간 춘화처리구에서 주간엽수는 평균 6.7~7엽으로 품종간 변이가 적었으나 무처리구에서는 11엽으로 변이가 컸고, 추파성이 강할 수록 엽수가 증가하였다. 2. 주간엽수 1엽이 전개되는데 소요일수는 무처리는 3주 및 6주간 춘화처리에 비해 평균 1.3~1.5 일 지연되었다. 일반적으로 춘파성 품종이 추파성품종에 비해 엽 전개속도가 빨랐다. 3. 이중륭기가 형성되는 VI기는 6주처리구에서 품종간 변이가 적었으나 무처리구에서는 춘파성(강보리, 동보리 002)과 중간 및 추파성 품종간에 뚜렷한 2종류의 차이양상을 보였다. X기는 처리 및 품종간 차이가 현저하여 춘파성은 빠르고, 추파성이 강할 수록 지연정도가 컸다. 같은 파성내에서 조숙형이 만숙형에 비해 X기가 빨랐고 지엽전개기는 X기와 비슷한 변화 양상을 보였다. 4. 최초 급속한 절간신장기는 6주처리 13 일, 3주처리 18 일, 무처리 45 일로 파성이 잔존할 수록 그 시기는 지연되었다. 같은 처리내에서 추파성이 클 수록 지연되었으며, 같은 파성내에서는 조숙형이 만숙형에 비해 그 시기가 빨랐다. 내한성 및 단일감응성을 고려하여 월동후 절간신장기가 빠른 춘파성 계통을 선발하는 것이 보리품종의 조숙화에 효과적이라 생각된다. 5. 파성은 특히 무처리구에서 엽전개속도, 주간엽수, 최초 급속한 유수 및 절간신장기, X기, 지엽전개기와 고도의 정 상관이 인정되었으나 포장출수기와는 상관이 적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