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화산도의 암석성분에 관한 통계학적인 수치해석

The Statistical on Numerical Analysis for The Petrology and Bulk Chemical Composition. In Cheju Volcanic Island

  • 발행 : 1987.04.01

초록

제주화산도의 암석학에 대한 암석기재 및 총화학 조성의 63종은 이문원에 의해 보고되고 있다. 총화학조성 데-타는 FORTRAN77의 프로그램에 의해 해석을 하였다. 해석에는 우선 최소자집법에 의해 환산식과 산분도를 검토했다. 다음에 통계적 데-타는 평균치, 최대치, 최소치, 범위, 표준편차, 분산, 표준오차 및 변동계수를 구했다. 표준편차의 큰 단위 물질은 SiO$_2$, MgO 및 FeO이고 작은 단위 물질은 MnO와 P$_2$O$_{5}$이다. 표준오차와 분산은 표준편차와 매우 유사한 조항이 있다. 그렇지만 변동계수는 표준편차와 다르다. 여기에서 큰 단위 변동계수는 $H_2O$$^{-}$$H_2O$$^{+}$이고, 작은 단위 변동계수는 $Al_2$O$_3$ 및 SiO$_2$ 이다. 상관계수의 계산은 정과 부의 상관성을 SiO$_2$, $Al_2$O$_3$ 및 TiO$_2$에 대해서 다른 조성과의 관계를 계산적으로 구할수 있다.

Lee, Moon Won reported by 63 kinds lescribing the petrography and bulk chemical Composition in Petrology of Cheju volcanic island. The total Chemical Composition data was analyzed by the program of FORTRAN77. First, the Conversition equations and the scatter diagram were examined to the analysis, by the least square method. Next, a statistical data requested a mean Value, maximum value, minimum value, the range, the standard deviation, the variance, the Standord Error and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In the standard deviation, a small Composition is MnO and P$_2$O$\sub$5/, a large Composition is SiO$_2$, Mgo and FeO. The Standard error and the variance were the tandency looked like the Standard deviation well. However, the Coefficient Variation differs from the Standard deviation. Where, a large Coefficient of variation are H$_2$O$\^$-/ and H$_2$O$\^$+/, a small Coefficient of variation are Al$_2$O$_3$ and SiO$_2$. The Correlation of Coefficient Can be Calculated numerically from the relation between SiO$_2$, Al$_2$O$_3$ and TiO$_2$ to other Composition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