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for the Forest Landscape

삼림경관에 관한 계량적 분석에 관한 연구

  • 서주환 (경희대학교 산업대학 조경학과)
  • Published : 1987.07.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uggest objective basic data for the environmental design through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visual quality included i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forest landscape. For this, landscape values of forest landscape have been evaluated by using the Iverson method, the images structure of forest landscape's main utilizing space have been analysed by the factor analysis algorithm, degree of visual preferences have been pleasured mainly by questionnaries and SBE method, and finally these thesis can be summarized as fallow LCP with high values of Iverson factors I and IV yield high landscape value. Specifically, Iverson factor IV has been found to play the dominant. For all experimental points, significant seasonal variations in S.D. scale values have been observed. In natural parks, where artificial structures are complementary to the natural landscape, main factors of image are S.D. scales such as the visual sequence, the formal simplicity of structures, the emphasis, the unification of heterogeneous factors and the assimilation. Factors covering the spatial image of natural parks have been found to be the overall evaluati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tidiness, the potentiality, the dignity, the intimacy and the space volume. For all seasons, factors such as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dignity, the tidiness, the potentiality, yield high factor scores. As for factors determining the degree of visual preference, variables such as the summit, the skyline, rocks, the water and the degree of natural destruction by artificial structures yield high values for all seasons.

삼림경관지의 물리적 환경이 지닌 시각적 질을 계량적 접근방법으로 분석하여 환경설계에 객관화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자연삼림경관의 경관가치를 Iveson 법에 의하여 평가하고, 삼림내 주리용공간에 대하여는 S.D Scale을 측정하고, 인자분석 Algorithm을 통하여 이미지 구호를 밝혔으며, 시각적 선호성 및 S.B.E Method에 의한 시각적 선호도를 파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Iverson 인자 I과 IV가 높은 치를 보이는 지점일수록 경관의 가치순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인공구조물이 공잔적으로 일관된 맥락을 유지하는 분배와 연종의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고 이질적으로 작용하는 지점에서는 낮은 치를 보였다. 인공요소를 자연경관요소에 동질적으로 융합시켜 Iverson 인자 IV의 측정치를 높이는 설계기법이 중요하다 하겠다. 2. 각 조사지점 공히 계절에 따른 S.D. Scale 치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삼림경관지에서 인공구조물이 보완적, 융합적으로 작용하는 공간에서는 시각적 연속성 구조물의 형태적 간결성 강조성 이질요소의 통일성 및 동화성 등의 어의미분척도가 이미지의 주성분석 변수로 나타났다. 3. 삼림경관지의 공간 이미지를 함축하는 변인은 종합평가, 개성, 정연성, 역량성, 품격, 친근감 및 공간규모 등 7개의 인자군으로 분석되었으며, 인자수 제어방법에 의하여 T.V. 는 45.32%로 나타났다. 4. 모든 계절 공히 개성, 품격, 정연성, 역량성 및 친근감의 인자가 높은 Factor Score를 보여, 삼림경관지의 계절적 공간이미지를 대표하는 인자군으로 나타났으며, 각 공간 이미지의 주인자 및 계절별 이미지 차이를 나타내는 인자는 각지점간 높은 유의성을 보였다. 5. 성별에 따른 Factor Score의 차이는 삼림경관지에 대한 이미지 중 종합평가와 개성 차원에서만 인정되었고, 연령에 따른 차이는 30대 이하와 40대 이상간에 현저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력에 따른 유의성도 나타났다. 직업간의 유의성은 학생과 타 직업간에 나타났다. 직업간의 유의성은 학생과 타 직업간에 현격하게 나타났으나, 개인차를 나타내는 속성적 변수는 상호보완적인 변수기능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행동의 설명력있는 이유로 볼 수 없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