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이혼율 변동에 관한 사회$\cdot$인구학적 변인고찰

  • 변화순 (한국여성개발원 수석연구원)
  • Published : 1987.12.01

Abstract

This work examines reemployment processes through the use of event history unemployment data in the United States. Two aspects of these processes, the duration of unemployment and changes in the reemployment rate, are modelled and analyzed in term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ir structural positions in the labor market. The secondary labor market is a competitive market in which unemployment occurs because people quit their jobs to devote more time in search for better jobs. Using search theory, the rate of reemployment has a positive time dependence as the searcher lower her reservation wage with the passage of time. By contrast, the primary market is characterized by long-term employment relations which reduce voluntary turnovers but generate layoffs temporarily. Relying on contract theory, because workers on temporary layoffs wait for recall, reemployment rates have a constant time dependence. Empirical results of unemployment durations indicate that reemployment processes are influenced by individual's positions in dual labor market structures. While the analysis suggests that the amount of search reemployment seems to be positively related to the degree of competitiveness of a market, somewhat weaker results are noted in the search reemployment processes in competitive markets.

이 논문은 미국 노동시장의 재취업과정을 사건사의 실업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재취업과정은 실업기간에 따라 변화하는 재취업률의 변화로 파악하였다. 분석에서는 이중노동 시장의 구조적 특성이 재취업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차노동시장은 경쟁시장이다. 경쟁시장에서 사람들은 더 나은 직장을 찾기 위해 직장을 그만두기 때문에 자발적 실업이 발생한다. 직장탐색이론에 의하면 자발적 실업에서 사람들은 실업기간이 경과하면서 자신의 의중임금을 떨어뜨림으로써 재취업률을 높이고자 한다. 이에 반하여, 일차노동시장은 장기간 고용관계로 이루어진, 경쟁적 성격이 약한 노동시장이다. 장기적 고용관계에서 실업은 경기가 좋지 않은 시기에 일시해고에 의해 비자발적으로 발생한다. 계약이론에 의하면 일시해고를 당한 사람은 원래의 직장에서 다시 부를 때까지 기다리기 때문에 재취업률은 실업기간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실증분석의 결과는 재취업과정이 이중노동시장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즉 일차노동시장에서 사람들은 실업을 당했을 경우, 기업에서 다시 부르기를 기다리는 성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한편 이차노동시장에서 실업을 당한 사람들의 경우, 새로운 직장을 찾는 경향이 높았다. 그러나 실업기간에 따른 재취업률의 변화는 직장탐색이론이 예측하는 수준보다 낮게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