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Milk Quality and Dairy Hygiene Management in Gyunggi Area

경기 일부지역의 유질 및 낙농위생 관리에 관한 조사연구

  • 이용욱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 박명섭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Published : 1987.09.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of milk quality. Milk quality was evaluated by 3 methods; milk fat percent measurement, methylene blue reduction test (MBRT), and somatic cell count measurement. At the same time, condition of hygienic management of dairy facilities and cows was investigated in each of 234 dairy farms located in Gyunggi area from May, 1986 to April, 1987.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verage milk fat percents among farms were 3.67%, 3.64%, 3.43%, 3.48% in January, April, July and October, respectively. The diUerences of milk fat percent from month to mont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5). and the seasonal average was 3.56%. 2. Numbers of farms which produced bulk milk of first grade by MBRT were 153(65.4%), 157(67.1%), 76(32.5%) and 141(60.2%) in January, April, July and October, respectively. The diUerences among month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5). Also, significant diUerences of grade by milking quantity (p<0.05), presence of milk cooler (p<0.01), and collection means (p<0.05) were demonstrated. 3. Number8 of farms which produced bulk milk of fir8t grade in somatic cell count measurement were 227(97.0%), 226(96.6%), 218(93.2%) and 223(95.3%) in January, April, July and October, respectively. And diUerences of grade by the pratice of teat dipping, dry cow therapy and manner in which udder washing towel was used statisticaJJy 8ignificant (p<0.01).

본 연구는 유질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1986년 5월부터 1987년 4월 까지 경기도 일부지역의 234개 목장을 대상으로 목장별 집합원유에 대해 유지방검사, 세균수시험 (MBRT), 체세포수시험을 실시하여 유질을 평가하였고, 목장의 낙농위생관리실태를 조사하여 유질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유지방율검사, 평균 유지방율은 3.56%였고, 월별로는 1월 3.67%, 4월 3.64%, 7월 3.43%, 10월 3.48%였으며, 월별 유지방율의 차이는 총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05). 2. 세균수시험 (MBRT) 결과, 집합원유의 세균수가 200만/ ml 이하인 I급 목장이 평균 132개(56.4%)였고, 월별로는 1월 153개(65.4%), 4월 150개(64.1%), 7월 76개(32.5%), 10월 141개(60.2%)였으며, 월별 MBRT등급의 차이는 총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05). 또한 납유량이 많은 목장구가 적은 목장구보다, 냉각기를 보유하고 있는 목장구가 보유하지 않은 목장구보다, 탱크집유목장구가 통집유목장구보다, 집합원유 MBRT I 등급의 비율이 더 높았으며, 납유량이 다소 (p<0.05), 냉각기 보유여부(p<0.01), 집유수단(p<0.05) 등과 MBRT 등급간에는 유의한 관련성이 인정되었다. 3. 체세포수시험 결과, 집합원유 체세포수가 50만 cells/ ml 이하인 I급 평균 223개(95.3%)였고, 월별로는 1월이 227개(97.0%), 4월 222개(94.9%), 7월 218개(93.2%), 10월 223개(95.3%)였으며, 월별 체세포수 등급의 차이는 유의성이 인정 되지 않았다. 한편, 착유후 유두침지소독 및 건유기유방염 치료를 병행실시한 목장구가 이의 단일실시 목장구보다, 유방세척용수건을 개체별로 사용한 목장구가 여러개체에 공동으로 사용한 목장구보다 체세포수가 더 낮았으며, 착유후 유두침지소독 및 건유기유방염 치료여부(p<0.01), 유방세척용 수건사용방법(p<0.01) 등과 체세포수간에는 유의한 관련성이 인정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