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zation of SAL plasmid isolated from Pseudomonas putida

Pseudomonas putida에서 분리한 SAL 플라스미드의 특성

  • 김희윤 (고려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 ;
  • 임영복 (고려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 ;
  • 이영록 (고려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
  • Published : 1987.03.01

Abstract

Three strains of bacteria utilizing salicylate, KU801(pKU5, pKU8), KU803(pKU6, pKU9), and KU806(pKU7, pKU10), were selected from the isolates and identified as Pseudomonas putida. By agarose gel electrophoresis, it was found that the strains had two plasmids each. All three strains were resistant to antibiotics such as ampicillin, tetracyclin, and chloramphenicol, and did not utilize other aromatic and aliphatic hydrocarbons examined except salicylate. The plasmids (pKU5, pKU6, and pKU7) of larger molecular weight were cured by treatment with mitomycin C and frequencies of curing were 0.4%, 1.67%, and 0.75%, respectively. Cured strains did not degrade salicylate and still had antibiotic resistances, which were identical with wild strains. The genes for salicylate degradation were proved to be enclded on thier plasmids. The molecular weights of pKU5 and pKU6 were estimated as 103.5Md, and that of pKU 7 as 101 Md. The new SAL plasmids, pKU5, pKU6, and pKU7 were transferred to P. putida and P. aeruginosa, but not to E. coli.

분리한 살리실산 자화세균 중 플라스미드블 갖는 세 균주를 션별하였다. 세 균주, KU801(pKUs, pKUS) , KUS03(pKU6 pKU9), KUS06(pKU7, pKU10)는 각각 두 개씩의 플라스미드플 가지고 있음이 전기갱동에 의해 밝혀졌고, Pseudomoηas putida로 동정되었다. 세 문주들은 모두 암피실린, 터l트라사이클린, 클로람페니콜등의 항생제에 대하여 내성을 지니며, 조사 된 방화족과 지방족 탄화수소들 중 삼리실산과 그의 중간 대사물인 카터1콜만을 이용하있다. 큰 분자량의 플라스비드(pKUS, p pKU6, pKU7)는 마이로마이신 C로 처리하였을때 큐어되며 그 빈도는 각각 0.40%, l,67%, 0.7S% 이었다. 큐어된 균주는 상리실산을 분해하지 못하였으나, 여전히 야생균주와 동일한 항생제 내성을 가지고 있었다. 살리실산 분해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그들 플라스미드에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pKU5와 pKU6의 분자량은 103, SMd, pKU7의 분자량은 101Md으로 측정되었다. SAL 플라스미드인 pKU5, pKU6, pKU7은 접합에 의해 P.putida와 P.aeruginosa로는 전달되었으나, E. coli에서는 발현되지 아니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