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hinochusmus juponicus 표피 미세구조의 주사전자현미경적 관찰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al Findings of Echinochasmus japonicus Tegument

  • 이순형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풍토병연구소) ;
  • 손운목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풍토병연구소) ;
  • 홍성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풍토병연구소)
  • Lee, Sun-Hyeong (Department of Parasitology and Institute of Endemic Diseases,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on, Un-Mok (Department of Parasitology and Institute of Endemic Diseases,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Hong, Seong-Tae (Department of Parasitology and Institute of Endemic Diseases,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87.06.01

초록

극구흡충의 하나인 Echinochasmus iaponicus의 표퍼 미세구조를 관찰하기 위하여 이 연구를 실시하였다. 참붕어(Pseuderasbora larva)의 두부로부터 분리, 수집한 피낭유충을 Sprague-Dawley계 흰쥐에 경구 감염시킨 후 5일, 7일 및 14일에 성충을 회수하여 고정, 건조 및 순금표면처리 과정을 거친 다음 ISI-Korea의 CL-6 및 DS-130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E. japonicus의 충체는 작고 통통한 표주박 모양으로 전단이 뾰족하고 후단은 등근모양이었다. 충체의 전체표면은 가로로 불연속적인 주름이 져 있었고, 자갈모양의 원형질 돌기로 덮혀 있었다. 2. 두관에는 24개의 두극이 원형질 주머니에 박혀서 일렬로 배열하였으나, 이중 양끝에서 두번 째, 네번 째의 두극은 밖으로 더 벌어져 있었다. 또한 이 배열은 두관의 등쪽 정증선에서 끊어져 있었다. 구흡반은 근육성이었고 구순에는 많은 수의 감각유두가 존재하였다. 구흡반과 복흡반 사이에는 생식공이 개구하고 있고, 동심원 모양의 복흡반은 복측으로 약간 튀어나와 있었으며 15∼17개의 II형 감각유두가 일열로 래열되어 있었다. 3. 상모양의 피극은 충체표퍼의 복측 앞쪽측면과 배측 전반부에 밀집되어 있었고, 구흡반에서 복흡반에 이르는 복측 정중면과 배측 후반부에는 분포하지 않았다. 4. 감각유두는 type I , type II 두 종류만 관찰되었으며 type I은 복측 전반부에 주로 많이 분포하였고 type II는 구흡반과 복흡반의 구술에만 주로 분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E. japnicus의 표퍼 미세구조가 다른 극구흡충과 비교했을 때 몇 가지 특징적인 것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고, 이 특징들이 다른 극구흡충류의 표피 미세구조 및 분류학적 연구에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egumental ultrastructures of Echinochasmus japonicus were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worms were recovered from albino rats which were experimentally infected with the metacercariae obtained from Pseudorasbora parva. Followings are summarized findings. 1. The worms were minute and plumpy gourdshaped with attenuated anterior and round posterior end. The tegument of whole body was wrinkled transversely and covered with cobblestone-like cytoplasmic processes. 2. Head crown was armed with 24 collar spines which were embedded in cytoplasmic pockets. The spines were arranged in a row with an interruption at dorsomedian line, however, the 2nd and the 4th spines were outstretched more than others. Oral and ventral suckers were muscular with numerous type II sensory papillae, and genital pore opened between the two suckers. 3. Tegumental spines were spade-shaped with broad base and pointed tip. They were compact in ventra-lateral tegument or dorsal surface of anterior body. They were not found between the two suckers and dorsal surface of posterior body. 4. Two types of sensory papillae, uni-ciliated (Type I) and roundly swollen sensory papillae (Type II), were observed. The type I papillae were chiefly distributed on ventral surface of tegument and type II were on the lips of suckers. Arrangement of collar spines, shape and distribution of tegumental spines or sensory papillae are regarded as characteristic features of E. japonicu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