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흡충에 대한 Praziquantel의 시험관내 작용에 관한 광학 및 연사전자현미경적 관찰

In vitro dffect of praziquantel on Paragonimus westermani by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 이순형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 박호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풍토병연구소)
  • 발행 : 1987.06.01

초록

Praziquantel이 폐흡충에 미치는 영향을 광학 및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재에서 분리수집한 폐흡충의 피낭유충을 2마리의 개에 경구감염시키고 11주후에 도살하여 폐로부터 128마리의 성충을 회수하였다. Tyrode 용액에 prasiquantel을 0.01, 0.1, 1, 10, 1000mg/m1 농도로 희석하여 배양액으로 사용하였다. 배양액에 활발히 움직이는 충체를 8마리씩 넣고 $37^{\circ}C$에서 배양하면서 15분, 30분, 1시간, 6시간, 12시간, 26시간에 운동성 및 형태학적 변화를 해부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각 실험군의 충체를 광학 및 주사전자현미경 표본으로 제작하여 관찰하였다. Praziquantel에 작용된 충체는 즉시 수축하고 점차 이완되었으며 표피와 표피하층의 공포화, 소화관의 수축과 내강의 팍장, 소화관벽의 비후, 난소와 고환의 공포화 및 말단의 구형화, Mehlis선의 공 포화등이 관찰되었다. 주사전자현미경적 소견으로 소수포의 형성은 구흡반과 복흡반 사이의 표면에서 가장 먼저 관찰되었고 배양시간과 praziquantel의 농도가 증가합에 따라 전체표면으로 확산되었다. 고농도의 배양액에 배양한 충체의 측후방 표피에는 분화구모양의 손상이 관찰되었으며 점차 전체표피로 확산되었다. Praziquantel의 작용을 받은 폐흡충의 형태학적 변화는 표피뿐만 아니라 소화기관, 생식기관 기타 조직등 전부위에서도 일어나는 것이 관찰되었다. 특히 충체가 살아있는 농도에서도 생식기관이 파괴되어 산란에 지장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같은 변화는 pragiquantel의 농도보다 배양시간에 보다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The effect of praziquantel on P. westermani exposed in vitro was observed by stereomicroscope, light microscop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1. The worms incubated in $0.01{\;}{\mu}g/ml$ praziquantel were moving after 26-hour incubation. However, all of them were immobilized immediately after incubation in solutions over $0.01{\;}{\mu}g/ml$ concentration. 2. All of the exposed worms showed severe vacuolization not only in tegument but in subtegument, intestine, ovary, testis, Mehlis' gland and excretory bladder. 3. Vacuoles in tegument burst out to form craters. As incubation time went on, tegumental structure was disintegrated severely. The worms exposed to praziquantel were observed to be immobilized and be vacuolized of all tissues. Disintegration of reproductive organs suggests that praziquantel have suppressive effect on egg production when the flukes are not killed. The drug effects were found more related with incubation time than with drug concentr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