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atus and View of Demand for Plywood in Korea

한국(韓國)의 합판수요(合板需要) 현황(現況)과 전망(展望)

  • Received : 1987.10.20
  • Published : 1987.12.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and furecast the domestic demand for plywood in Korea by regression models with time-series data for 16 years(1970-85).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o analyze domestic demand for plywood, GNP, PWI and CWI were used as independant variables. The domestic demand equation was computed as follows: $^{in}DDP$=0.65186+1.29412 $^{in}GNP$-0.28385 $^{in}PWI$-1.05011 $^{in}CWI$ Where DDP : Domestic demand for plywood(1000 S/F) GNP: Gross national product (Billion won) PWI : Real wholesale price index of plywood CWI: Real wholesale price index of construction materials. 2. Among independant variables reflecting on the production activity of plywood industry, GNP was the most decisive in forecasting the domestic demand for plywood. 3. The significance can be recognized highly because the decision coefficient of the forecasting model which is obtained by using time series data is 0.9. 4. According to the estimated regression coefficients for GNP, PWI and CWI, GNP shows positive relation while PWI and CWI show negative relation. 5. An annual average increase rate of demand for plywood was 9.4 percent during expect period. Therefore, it was decreased slightly than that of 10.2 percent during sample period.

장기간(長期間)의 극심(劇甚)한 불황(不況)의 여파(餘波)로 사양화(斜陽化)의 길에 접어든 합판산업(合板産業) 부양(浮揚)을 위(爲)해서는 장기적(長期的)인 안목(眼目)의 합판수요정책(合板需要政策)이 절실(切實)히 요망(要望)되고 있는 실정(實情)에 비추어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이에 필요(必要)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하고자 1970~1985년(年)까지 16년간(年間)의 표본자료를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국민(國民) 총생산(總生産)(GNP), 합판(合板)의 실질도매물가지수(實質都賣物價指數)(PWI) 및 건설자재(建設資材)의 실질도매물가지수(實質都賣物價指數)(CWI)를 설명변수(說明變數)(독립변수(獨立變數))로 합판(合板)의 국내수요량(國內需要量)(DDP)을 피설명변수(被說明變數)(종속변수(從屬變數))로 하는 합판수요(合板需要)의 예측모형(豫測模型)은 다음과 같다. $\bigcirc$ 합판수요(合板需要)의 예측모형(豫測模型) $^{in}DDP$=0, 65186+1.29412 $^{in}GNP$-0.28385 $^{in}PWI$-1.05011 $^{in}CWI$ DDP: 합판(合版)의 국내수요량(國內需要量)(천(千)S/F) GNP: 국민총생산량(國民總生産量)(Billion Won) PWI: 합판(合板)의 실질도매물가지수(實質都賣物價指數) CWI: 건설자재(建設資材)의 실질도매물가지수(實質都賣物價指數) 2) 추정(推定)된 회귀계수(回歸係數)의 크기로 보아 합판산업(合板産業)의 생산활동(生産活動)을 반영(反映)하는 설명변수중(說明變數中) 합판(合板)의 국내수요(國內需要)에 영향력(影響力)이 가장 큰 인자(因子)는 국민총생산(國民總生産)(GNP)이었다. 3) 예측모형(豫測模型)의 결정계수(決定係數)는 0.9로서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을 인정(認定)할 수 있다. 4) 추정(推定)된 회귀계수(回歸係數)의 부호(符號)가 GNP는 정(正)의 상관(相關)PWI, CWI는 부(負)의 상관(相關)으로 나타났다. 5) 예측기간(豫測期間)의 년평균(年平均合) 합판수요(合板需要) 증가율(增加率)은 9.4%로 표본기간(標本期間)의 년평균(年平均) 증가율(增加率) 10.2%보다 다소(多少) 둔화(鈍化) 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