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오염(大氣汚染) 피해(被害) 소나무의 목재(木材) 해부학적(解剖學的) 특성(特性)

Woo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Pine Tree (Pinus densiflora S. et Z.) Damaged by Air Pollution

  • 김윤수 (전남대학교 농과대학) ;
  • 박병대 (전남대학교 농과대학) ;
  • 심근 (임업시험장 목재이용부)
  • Kim, Yoon-Soo (College ot Agriculture, Chonnam National Univ.) ;
  • Park, Byung-Dae (College ot Agriculture, Chonnam National Univ.) ;
  • Shim, Keun (Division of Utilization, Forest Research Institute)
  • 투고 : 1987.04.14
  • 발행 : 1987.06.30

초록

대기오염(大氣汚染)이 극심한 것으로 알려져있는 온산(溫山) 및 여천(麗川) 지역의 소나무 (Pinus densiflor)를 대상수종으로, 해부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던 바, 지난 10년간 전반적인 생장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생장감소의 시작년대와 상기(上記)지역에서의 공단(工團)의 가동 년도(年度)가 거의 일치하고 있음을 연륜년대학적(年輪年代學的) 고찰을 통해 입증할 수 있었다. 대기오염 피해지역의 소나무에 있어서 반경방향의 생장의 감소는 지난 10년간 온산(溫山)의 경우 70%, 여천(麗川)의 경우 60%에 달하였다. 이들 소나무는 춘재(春材)의 형성이 억제된 반면 피해기간 중의 추재율(秋材率)은 약 30% 정도 증가되었다. 대기오염 피해기간중 형성된 연륜내(年輪內)의 최대밀도(最大密度)는 건전재의 그것에 비해 약간 낮게 나타났다. 가도관의 치수의 경우 가도관장(假導官長)의 변이(變異)는 찾아볼 수 없었으나, 피해기간중 가도관벽(壁)의 두께와 그 직경은 감소하였다. 이같은 변화에도 불구하고 미시구조(微視構造)의 관찰결과, 하등의 이상조직(異常組織)이나 미생물(微生物)을 발견(發見)할 수 없었다.

Some anatomical characterisitcs of Japanese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 collected from pollution-exposed areas in Korea were investigated. These sites were reportedly the most severe air polluted areas in Korean peninsular. A decline in overall growth rate was apparent since the late 10-year period of growth. P. densiflora in Onsan and in Yeochon recorded in the radial growth reduction of approximately 70 and 60% respectively. The formation of earlywood in the period of air pollution was restricted, whereas the percentage of latewood increased. The maximum wood density was lower in xylem rings formed during a period of air-pollution than in rings found without pollution. Most of pine trees damaged by air pollution showed the classical type of length-on-age curve for tracheids. However, reduction in cell wall-thickness and diameter was revealed in the wood exposed to air pollutants. Nor anomalies in microstructures nor microorganisms in wood structures were found in the damaged tre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