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룡포에서 산출(産出)되는 화산암(火山岩)에 대(對)한 고지자기(古地磁氣)와 K-Ar연령(年齡)

Paleomagnetism and K-Ar Age of Volcanic Rocks from Guryongpo Area, Korea

  • 발행 : 1986.06.30

초록

구룡포지역을 고지자기학적으로 연구하고 또한 분포된 암석의 K-Ar연대를 결정하기 위하여 14개지점으로부터 반암류, 안산암류, 석영안산암류 및 적색사암등의 시료를 채취하였다. K-Ar연대 측정결과 반암류와 화산암류는 각각 42.7Ma 및 22.7-19.4Ma에 형성되었음을 나타냈다. 각 지점별로 이들 시료를 최적자기장에서 교류소자한 후에는 자화방향이 한방향으로 집중되었다. 후기마이오세의 반암류들은 모두 정자화를 하고 있었고 후기올리고세에서 초기마이오세에 걸쳐서 분출된 화산암류들은 정자화를 한 것과 역자화를 한 것으로 나뉘어 나타났다. 반암류와 화산암류의 평균 자화방향은 서로 유사한 방향이었으며 또한 동쪽 편각을 보여주었다. 암석전체의 평균자화방향은 평균편각 $Dm=43.8^{\circ}$, 평균복각 $Im=53.5^{\circ}$, 95%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원의 반경 ${\alpha}95=12.2^{\circ}$이다. 연구지역의 암석들에서 정자극과 역자극이 동시에 나타난점과 또한 이들이 서로 비슷한 편각을 갖고 있다는 점들로 미루어 측정된 고지자기 방향의 신뢰도가 크다고 판단되었다. 측정된 동쪽편각 $43.8^{\circ}$는 이 지역이 동쪽으로 약 $40^{\circ}{\sim}50^{\circ}$정도 회전한 결과라 해석하였다.

Samples of porphyries, andesites, decites and sandstones were collected from 14 sites in order to study paleomagnetism and to determine K-Ar age in Guryongpo area. K-Ar age dating indicates that porphyries and volcanic rocks formed 41.7 and 22.7~19.4Ma, respectively. The mean direction of remanent magnetization for each site was generally well grouped after alternating field demagnetization. Both normal and reversed directions are present. The mean magnetic direction of the porphyries of Late Eocene and that of the volcanic rocks of Late Oligocene to Early Miocene have similar, easterly declinations. Overall magnetic direction is $Dm=43.8^{\circ}$, $Im=53.5^{\circ}$, ${\alpha}95=12.2^{\circ}$. the reliability of the observed paleomagnetic directions is ascertained by the presence of normal and reversed polarities. This is also conformed by the similarity of the declinations of the normal and reversed polarities. Observed easterly declinations in this area are attributed to local clockwise rotation of the land mass by approximately 40~50 degrees since early Miocen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