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내 약수의 화학적 및 세균학적 수질에 관한 연구

Chemical and Bacteriological Quality of Spring Waters in Pusan Area

  • 김용관 (부산전문대학 식품가공과) ;
  • 고광배 (부산전문대학 식품가공과)
  • KIM Yong-Gwan (Department of Food Processing, Pusan Junior College) ;
  • KOH Kwang-Bae (Department of Food Processing, Pusan Junior College)
  • 발행 : 1986.03.01

초록

부산시내에 산재하고 있는 약수터 중 20개소를 선정하여 이들의 수질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 자 1985년 7월부터 동년 12월사이에 7회에 걸쳐 140개 시료를 취하여 약수 수질의 일반적인 성상, 영양염류, 위생지표세균 및 대장균의 조성 등을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H의 변화범위와 평균치는 $6.2{\sim}8.2$, 7.07, 수온은 $4.0{\sim}23.5^{\circ}C,\;15.9^{\circ}C$, 전기전도도는 $0.228{\times}10^2{\sim}2.125{\times}10^2{\mu}{\mho}/cm,\;0.860{\times}10^2{\mu}{\mho}/cm$, 염화이온농도는 $3.28{\sim}19.3mg/l$, 6.81 mg/l이었다. 특히, 지점 11에서는 타 지점에 비하여 전기전도도와 염화이온 농도는 평균치 $1.815{\times}10^2{\mu}{\mho}/cm$, 13.5mg/l으로 높았다. 2. 아질산 질소의 변화범위와 평균치는 $ND{\sim}0.221mg/l$, 0.017mg/l, 질산성 질소는 $ND{\sim}6.779mg/l$, 0.877mg/l이었으며, 인산성 인은 $ND{\sim}0.105mg/l$, 0.021 mg/l, 규산성 규소는 $2.12{\sim}22.70mg/l$, 9.04mg/l였었다. 지점 11의 경우 아질산성 질소의 농도는 평균치로 0.076mg/l, 질산성 질소의 농도는4.772mg/l, 규산성 규소는 14.07mg/l로서 조사 대상지점 중에서 매우 높았다. 3. 각 지점별 대장균군의 최확수는 $0{\sim}l,500/100ml$, 기하평균치는 $13{\sim}470$ 이었고, 분편계대장균은 $0{\sim}460/100ml,\;2{\sim}32$ 였었다. 지점 11에서의 수질은 상수로서 음용하기가 어려울 정도로 높은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4. Escherichia celi group 이 24균주로 $26.37\%$였으며, E. coli type I의 검출률은 $4.48\%$에서 $19.78\%$로 훨씬 높게 검출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water quality of spring waters in Pusan area (see Fig. 1). In this experiment, one hundred and forty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t 20 stations from July to December 1985. Range and mean value of constituents of the samples were as follows ; pH 6.2-8.2, 7.07 ; water temperature $4.0-23.5^{\circ}C,\;15.9^{\circ}C$ ; electrical conductivity $0.228{\times}10^{2}-2.125{\times}10^2{\mu}{\mho}/cm,\;0.860{\times}10^2{\mu}{\mho}/cm$; chloride ion 3.28-19.3mg/l, 6.81mg/l ; nitrite-nitrogen ND-0.221 mg/l, 0.017mg/l ; nitrate-nitrogen ND-6.779mg/l, 0.877 mg/l ; phosphate-phosphorus ND-0.105mg/l, 0.021mg/l ; silicate-silicious 2.12-22.70mg/l, 9.04mg/l, respectively. Especially, electrical conductivity, chloride ion, nitrite-nitrogen, nitrate-nitrogen, and silicate-silicious of the station 11 (Millakdong)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s as $1.815{\times}10^2{\mu}{\mho}/cm$, 13.5mg/l, 0.076mg/l, 4.772mg/l and 14.07mg/l. Range and geometric mean value of total coliform and fecal coliform MPN's of the samples were 0-1,500/100ml, 13-470/100ml and 0-460/100ml, 2-32/100ml. Composition of coliform was $26.37\%$ Escherichia coli group, $21.98\%$ Citrobacter freundii group, $37.36%$ Entrobacter aerogenes group and $14.29\%$ other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