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owth Comparison of Pearl Oyster, Pinctada fucata between the Two Culturing Areas

양성장에 따른 진주조개, Pinctada fucata의 성장

  • YOO Sung Kyoo (Department of Aquacultur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CHANG Young Jin (Department of Aquacultur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LIM Hyun Sig (Department of Aquacultur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유성규 (부산수산대학 양식학과) ;
  • 장영진 (부산수산대학 양식학과) ;
  • 임현식 (부산수산대학 양식학과)
  • Published : 1986.11.01

Abstract

The growth of the pearl oyster, Pinctada fucata was compared between two areas, Hansan Bay and Ilkwang located in southern part and in southeast part of Korean waters respectively, from November 1984 to June 1986. The pearl oysters in Hansan Bay grew from 2.53cm to 6.07 cm in shell length in 17 months, while those in Ilkwang grew from 2.53 cm to 4.07 cm in 19 momths. Shell height, shell breadth and total weight of the pearl oysters in Hansan Bay also showed more rapid growth than those in Ilkwang. The relative growth of shell breadth to shell length in specimens between Hansan Bay and Ilkwang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dicating that the value in Ilkwang is bigger than that in Hansan Bay, It is also suggested that Hansan Bay is a good area for the growth and Ilkwang, an area worth wintering of the pearl oyster.

진주조개의 성장 및 양성장 개발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한산만에서 양식중인 모패로부터 천연종묘생산한 치패를 사용하여, 한산만과 일광에서 1984년 11월부터 1986년 6월까지 성장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양성기간에 따른 각장의 성장은 실험개시시 평균2.53cm로부터, 한산만에서는 17개월만에 평균 6.07cm로 자랐고, 일광에서는 19개월만에 평균 4.07cm로 자라나, 한산만이 일광에 비해 성장이 빨랐다. 두 양성장에 있어서 진주조개의 상대성장을 비교한 결과, 기울기값은 각장과 각고의 경우에 한산만 1.0392, 일광 1.0290 이었고, 각장과 전중에서는 각각 3.2220, 3.0414였으나 유의의 차는 없었다. 그러나, 각장과 각폭에서는 각각 0.3628, 0.3815로 양자간에는 유의의 차가 나타나, 일광의 것이 한산만의 진주조개에 비해 각장에 대한 각폭의 성장비가 컸다. 한산만은 진주조개의 양성장으로 적합한 반면 타지역에서의 월동을 필요로 하고, 일광은 월동수역으로서의 가치는 있으나 성장에는 부적합한 곳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