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Irrigation on the Growth of Horticultural Crops in a Sandy Loam

관수조건(灌水條件)이 사양토(砂壤土)에서 채소작물(作物)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 Published : 1986.03.30

Abstract

Responses of three different crops to soil water status were investigated in a Bonryang Sandy loam for 5 years. The changes in soil water potential, water and nutrient uptakes, growth pattern, water use efficiency and yield were analyzed under different irrigation conditions. Chinses cabbage showed more water stress than radish and red pepper in the non-irrigatedcultivation. The higher soil water potential, the more nutrient and water uptake, and evapotranspiration were observed. Water use efficiency wa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evapotranspiration up to the optimum amount, whereas the efficiency was decreased when evapotranspiration was exceeded the optimum lebel. Little growth of chinese cabbage was observed when the soil water potential was lower than -1.7 bar at 20-30 cm depth in spring cultivation. The optimum soil water potential for irrigation was -0.2 bar, -0.5 bar and -0.2 - -0.5 bar for chinese cabbage, radish and red pepper, respectively. Optimum irrigation markedly improved the crop quality and yield in comparison to non irrigation condition.

무우, 배추, 고추 등(等)의 채소작물(作物)에 대(對)한 관수효과(灌水效果)를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1979년(年)부터 1983년(年)까지 본량(本良) 사양토(砂壤土)에서 무관수(無灌水), 관수점(灌水點) -3.0bar, -1.0bar, -0.5bar, -0.2bar로 하였을때 토양수분(土壤水分)의 변화양상(變化樣相)과 이에따른 작물(作物)의 양(養) 수분(水分) 흡수(吸收), 증발산량(蒸發散量)과 물이용효율(利用效率) 및 생육양상(生育樣相)과 수량(收量) 등(等)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무관수시(無灌水時) 동일(同一)한 기상조건하(氣象條件下)에서 배추, 무우, 고추의 순(順)으로 한발(旱魃)을 받는 정도(程度)가 심(甚)하였다. 2. 토양수분함량(土壤水分含量)이 많을수록 봄채소에 있어 토양온도(土壤溫度)의 지나친 상승을 억제시켜 주었다. 3. 관수(灌水)에 의(依)해 토양수분(土壤水分)potential이 높을수록 엽수분함량(葉水分含量) 및 무기양분(無機養分)의 흡수량(吸收量)이 증가(增加)하였다. 4. 토양수분(土壤水分)potential이 높을수록 물소모량(消耗量)은 증가(增加)하였으며, 물소모량(消耗量)이 어느 정도(程度)까지 증가(增加)할수록 물이용효율(利用效率)도 증가(增加)하였으나 그 이상(以上)에서는 감소(減少)하는 경향이었다. 5. 토양수분(土壤水分)potential이 20~30cm 깊이에서 -1.7bar 이하(以下)로 유지될 때 봄배추의 생장량(生長量) 증가(增加)는 거의 없었다. 6. 작물별(作物別) 최대수량(最犬收量)을 나타낸 관수점(灌水點)은 배추 -0.2bar, 무우 -0.5bar, 고추 -0.2~0.5bar 이었으며, 관수(灌水)에 의(依)한 증수효과(增收效果)는 봄배추에서 가장 컸었다. 7. 적정관수(適正灌水) (-0.2~-0.5bar)에 의(依)해 증수(增收)는 물론 품질향상(品質向上)의 효과(效果)가 컸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