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Establishment of Application Method of Organic Matter in Rice-Barley Cropping System

벼-보리 작부지대(作付地帶) 유기물연용시용법(有機物連用施用法) 연구(硏究)

  • Published : 1986.12.30

Abstract

The fertilizer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stablish a pattern of a continuous application of organic matter in rice-barley cropping system. Fine textured gray lowland soil was used to grow the crops. The amount of nitrogen absorption and the yield of the crops were the highest in barnyard manure 1,000kg/10a. A correlation among the content of humus and nitrogen, the amount of nitrogen absorption, and the yield was significant while it was not significant among the the nitrogen content of the soil fertility, the total nitrogen, and the yield of crop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uggests that revelation of available nitrogen after the decomposition of the organic matter depending on climate and regions should be studied for the organic matter application in due season.

벼-보리 작부시(作付時) 유기물연용(有機物連用) 시용방법(施用方法)을 확립(確立)하기 위(爲)하여 각(各) 작기별(作期別)로 유기물자재(有機物資材) 및 시용량(施用量)을 달리하여 세립회색(細粒灰色) 저지토(低地土)에서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토양중(土壤中) 부식함량(腐植含量)과 전질소함량(全窒素含量)은 볏짚 환원구(還元區)를 제외(除外)한 모든 유기물(有機物) 시용구(施用區)에서 증가(增加)되었고 그중(中) 퇴비배량구(堆肥倍量區)가 제일(第一) 높았다. 2) 추출질소(抽出窒素)(지력질소(地力窒素))는 볏짚+보리짚 시용구(施用區)에서 분해과정(分解過程)이 지연(遲延)됨에 따라 수확기(收穫期) 잔존량(殘存量)이 제일(第一) 많았으며 완숙퇴비(完熟堆肥) 시용구(施用區)에서는 오히려 적었다. 3)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 및 수량(收量)은 퇴비배량구(堆肥倍量區)에서 높았고 부식함량(腐植含量), 전질소(全窒素),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 및 수량간(收量間)의 상호관계(相互關係)는 유의성(有意性)있는 상관(相關)을 나타냈으나 추출질소(抽出窒素)와 전질소(全窒素) 및 수량간(收量間)에는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4) 유기물(有機物) 시용(施用)에 의(依)한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學的) 성질(性質) 변화(變化)는 인산(燐酸)과 가리(加里)는 각(各) 유기물(有機物) 시용구(施用區), C. E. C는 퇴비시용구(堆肥施用區)에서 다소(多少) 높았으며 물리성(物理性) 변화(變化)는 거의 없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