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Fatigue Strength of the Welded Joints in Steel Structures(II)

강구조물(鋼構造物)의 용접연결부(鎔接連結部)의 피로강도(疲勞强度)에 관한 연구(研究)(II)

  • 박제선 (강원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정영화 (강원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장동일 (강원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Received : 1985.10.18
  • Published : 1986.03.31

Abstract

Welded connectors of the cover plates, the transverse stiffeners of the plate girders, and the gusset plates of the plates girders or box girders, were selected as studying objects. A simplified method of drawing the S-N curves in these welded joints by a computer program without the direct fatigue tests was established. The plots on the S-N curve using the values from the practical fatigue test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from the method of the computer programming.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as follows. It appeared that the fatigue life by calculation method was a little less than the practical fatigue life from the actual tests. The latter values included both life $N_c$ of occurrence of initial crack $a_i$ and the life $N_p$ of propagation of critical crack. On the other hand, the former values included only the life $N_p$. Therefore, these results should be considered as justifiable ones. Sin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results was not significant, the results by calculation method should be in the conservation side when the safety of the structures was considered. Consequently, the results by calculation method should be applicable to the fracture fatigue design of structure. For reference, the same fatigue tests were performed with the specimens of 3 pieces in each case made of the low-strength steel, SS 41. The results went unexpected showing that the fatigue strength was lower in the case of low-strength steel. That is, in the case of the cover plate, the fatigue strength became slowly higher than the case of high-strength steel, SWS 50. That was observed when the maximum testing stress was higher than $14kg/mm^2$.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transverse stiffener, the fatique strength became rapidly higher than the case of SWS 50. That was observed when the maximum testing stress was lower than $31kg/mm^2$. It was thought that more such fatigue tests should be performed for more reliable results.

강구조물(鋼構造物)의 girder중(中) 중요형식(重要形式)인 판항(板桁)에서 덮개판(板) 및 수직보강재(垂直補剛材)와 판항(板桁)이나 상자항(箱子桁)의 격점부(格點部)에 사용도는 연결판(連結板) 등의 용접연결부(鎔接連結部)를 포함하는 실물(實物)을 modeling하여 직접 피로시험(疲勞試驗)을 행하지 않고서도 계산에 의하여 S-N 선도(線圖)를 그려서 피로강도(疲勞强度)를 추정(推定)할 수 있는 계산식 및 program을 정립하였다. 또, 실물시험편(實物試驗片)에 대한 피로시험(疲勞試驗)을 행하여 계산에 의한 S-N 선도상(線圖上)에 plot하여 서로 비교 검토하였다. 이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계산에 의한 피로강도(疲勞强度)가 실험(實驗)에 의한 실제 피로강도(疲勞强度)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다. 계산에 의한 방법은 초기균열(初忌龜裂) $a_i$가 발생한 다음부터 파단시(破斷時)까지의 피로수명(疲勞壽命) $N_p$에 대한 것임에 비해 실험(實驗)에 의한 것은 초기균열(初忌龜裂) $a_i$의 발생수명(發生壽命) $N_c$까지를 포함한 총(總) 피로수명(疲勞壽命) $N=N_c+N_p$에 대한 것이므로 오히려 당연한 결과라 생각된다. 그 차이가 그다지 크지 않으며, 구조물(構造物)의 안전성(安全性)을 생각할 때 계산(計算)에 의한 결과가 안전측(安全側)에 해당하므로 실제 구조물(構造物)의 피로설계(疲勞設計) 시(時) 그대로 적용하여도 무방할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로 저강도강(低强度鋼)인 SS 41 시험편(試驗片)을 각 경우 3개씩 제작하여 같은 피로시험(疲勞試驗)을 행하여 비교해 보았다. 덮개판(板)의 경우 시험최대응력(試驗最大應力) $14kg/mm^2$ 정도 이상(以上)에서 서서히, 수직보강재(垂直補剛材)의 경우 실험최대응력(實驗最大應力) $31kg/mm^2$ 정도 이하(以下)에서 급격(急激)히, 고강도강(高强度鋼)인 SWS 50 시험편(試驗片)의 경우보다 피로강도(疲勞强度)가 더 커진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저강도강(低强度鋼)에서 피로강도(疲勞强度)가 낮을 것이라는 상식적(常識的)인 기대와는 다른 특징(特徵)이지만 시험편(試驗片) 3개씩만의 결과이므로 확정적(確定的)인 결론이라고 단언(斷言)할 수는 없겠으며, 앞으로 더 많은 실험(實驗)을 행하여 확인해 보아야 할 것이라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