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the Kind and Concentration of Salt on Oxidation of Lipids and on Formation of Flavor Components in Fermented Anchovies

멸치젓에 사용한 염의 종류와 농도가 지질의 산화와 맛성분에 미치는 영향

  • 장백경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이혜수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1986.08.01

Abstract

Effects of the kind and concentration of salt on oxidation of lipids and on formation of flavor components have been studied with four varieties of fermented anchovies prepared with 20% sun-dried salt(sample B) , 12% refined salt (sample C), 16.5% refined salt (sample D) and 16. 5% refined salt Plus 25% brine (sample E). The sample B showed higher peroxide and TBA value and also higher content of TMA thar. those prepared with refined salt. The amounts of amino-N and VBN in sample B appeared larger than in sample D but was in a similar level with those in sample C. On the other hands, much smaller amounts of lactic and succinic acid were observed in sample B compared with in sample C and D. Sample C revealed the highest level of lactic acid among the samples tested. The changes in the amounts of each free amino acid displayed similar tendencies in all samples, except decreasing tendency of tyrosine in sample B and increasing tendency of aspartic acid in sample C. Also observed was lower IMP and inosine level in sample B than in C and D, but hypox-anthine level was higher in B. In general, sample I indicated remarkably lower values of experimental data in all cases mentioned above, but the highest TBA balue.

소금의 종류와 농도를 달리하여 네가지의 멸치젓을 담갔다. 친일염을 사용한 시료는 정제염을 사용한 시료에 비해 과산화물가, TBA가, TMA의 함량이 높았고 아미노태 질소, 휘발성 염기 질소의 함량은 같은 염도의 정제염 시료보다는 많았고, 낮은 염도의 정제염 시료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모든 멸치젓에서 lactic acid 와 succinic acid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천일염 시료는 두 유기산의 함량들이 정제염 시료에 비해 크게 낮았고, 낮은 염도의 정제염 시료는 높은 염도의 정제염 시료에 비해 lactic acid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의 함량 변화는 숙성된 젓들에서 증감의 경향이 흡사하였다. 천일염 시료에서 tyrosine의 감소와, 천일염과 같은 염도의 정제염 시료에서 aspartic acid의 증가가 특이하였다. 친일염 시료는 다른 정제염 시료들 보다 IMP, ino-sine의 함량은 낮았고 hypoxanthine의 함량은 높았다. 낮은 염도의 정제염시료는 높은 염도의 정제염 시료보다 IMP의 함량이 낮고 inosine 과 hypoxanthine 의 함량이 높았다. 염수를 첨가한 멸치젓은 다른 젓들에 비해 TBA가 높고, 핵산 관련 물질은 IMP, inosine의 함량이 천일염 시료보다 많았다. 그외의 모든 분석치들은 크게 낮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