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damental Studies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Color Preference -Reference of Twenty Ages-

색채선호의 계량적 분석에 관한 기초적 연구 -20대 연령층을 대상으로-

  • 조동범 (서울대학교 대학원 원예학과) ;
  • 문석기 (청주대학교 조경학과)
  • Published : 1986.10.01

Abstract

In order to analyse the color preference quantitatively, specially with reference to the subjects in the age of twenties, 100 subjects(M=50, F=50) that unconsidered other factors were adopted and responded to 4 items of the questionaire. The item no. 1 was to investigate the most prefered color on the white background, no. 2 was to most preferred stimulation -level of lightness in the same hues, no. 3 was to most prefered color on 5 different backgrounds -grey, blue, pink, yellow, and yellow green-, and no. 4 was same as no. 3 but with different color-arrangement Materials for item 1 and 3 were made with transparent acryl-boards(30cm$\times$30cm), on which 16 color chips arranged on circle, for item 4 on lattice, and for item 2 with 16 white boards(8cm$\times$21cm), on which 7 color chips of different lightness-level arranged. Reflectance(Y) and color coordinate(x, y) of all color chips measured with color difference meter were transfered into wavelength(nm), exitation purity(%), and Munsell's value. The resul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Most prefered color was bluish green with wave1ength about 500nm. As increasing of exitation purity of color, more prefered. 2) When there were 7 different levels of lightness in the same hu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preference and the stimulation was inverted U-shaped. 3) With changing the background -color, the prefered colors were contrasting when backgrounds were low or high intensity-stimulation and familiar colors when backgrounds were medium intensity.

20대 남녀 50명씩 100명의 집단에 대해 투명의 아크릴 보드에 제작된 환상 및 격자상의 배열로 16을 배치하고 백색을 배경으로 평소에 가장 선호하는 색을 환상배열에서 선택하도록 하고 grey, blue, pink, yellow 및 yellow green을 배경으로 환상 및 격자상배열에서 가장 좋아보이는 색을 고르도록하였다. 또 16색상 각각을 white 및 black의 혼합배율에 배치하고 가장 좋아보이는 수준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20대 남녀 50명씩 두 집단의 색선호에는 큰 유이성이 없었으며 전체 집단의 경향은 다음과 같았다. 1) 색의 파장 증가에 대해서는 500nm 부근의 bluish green에 대해 가장 높은 선호를 보였고 그 보다 짧거나 긴 파장에 대해서는 선호정도는 감소되었다. (그림2). 자주순도의 증가와는 일차적인 비례관계을 보여 자극순도가 높은 색일수록 선호정도도 높았다. (그림3). 명도와의 관계는 파장과는 반대의 경향으로서 중간 명도에서 최저 선호를 보였으나 유의성이 낮아 색상간의 명도차이에 대해서는 반응이 미약한 것으로 보여졌다. (그림4). 2) 동일 색상내에서 색의 명도수준을 7단계로 하였을EO 16색상의 평균치에서 명도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선호도 증가하여 중간정도의 명도에서 최고 반응을 보이고 그 이상의 명도 증가에서 선호는 감소하였다(그림 5). 3) 16색의 배치방법을 환상과 격자상으로 하고 배경색의 변화를 동일하게 하였을 때 선호색의 경향은 두 배치방법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배경색의 관계는 백색배경에서의 경우와 유사하게 파장은 부정적으로, 작그순도와 명도는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배경색의 파장, 자극순도, 명도의 변화와 선호되는 색과의 관계는 각 자극이 낮거나 높을 때는 그와 큰 차이가 나는 높은 자극 및 낮은 자극의 색이, 중간정도의 자극인 배경에서는 그와 유사한 자극의 색이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6, 7, 8).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