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stribution and Feeding Characteristics of Some Dominant Polychaetes in the Continental Shelf of the East Sea, Korea

동해 대륙붕에 분포하는 주요 다모류의 서식지 환경

  • Choi, J.W. (Department of Ocean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oh, C.H. (Department of Ocean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최준우 (서울대학교 해양학과) ;
  • 고철환 (서울대학교 해양학과)
  • Published : 1986.12.0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appreciable information on the proper habitats and feeding modes of some dominant polychaetes in the continental shelf of the East Sea during April, 1985. Among 95 polychaete species, we select ed 9 dominant species in terms of their occurring frequency, abundance and population density. These are Terebellides stroemi, Chaetozone setosa, Magelona japonica, Ampharete arctica, Aglaophamus sinensis, Nothria holobranchiata, Lumbrineris japonica, Myriochele gracilis, Notoproctus pacificus. Major food item s of these species are centric diatoms and detritus. The feeding modes of the the m are mainly surtace or subsurface deposit feeding, though two specters, M.holobranchiata and L. japonica, could be assumed to be potential carnivores. To a certain degree, most deposit feeders in the coarse sediments showed selectivity in feeding and tube building. The feeding mode, gut content and the tube structure, and the distribution pattern of dominant polychaetes correspond well with the habitat tharacters, e.g.the bottom topography, the source of food and the sediment composition.

본 연구는 한국 동해 대륙붕에 출현하는 주요 저서 다모류의 서식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1985년 4월에 수행되었다. 총 95출현종 중 조사 지역에서의 출현빈도, 출현량 또는 개체군 밀도에 있어서 중요한 우점종들로는 Terebellides stroemi, Chaetozone setosa, Magelona japonica, Ampharete arctica, Aglaophamus sinensis, Nothria holobranchiata, Lumbrineris japonica, Myriochele gracilis, Notoproctus pacificus 등 9개 종이다. 이들 우점동의 주된 먹이는 규조류와 기타 유기파편들로 구성되었으며 식이형에 있어서는 표층하 퇴적물 식자(subsurface deposit feeder)와 표층퇴적물 식자(surface deposit feeder)에 속하는 종들이 대부분 이다. 육식자로 간주되는 M. holobranchiata 와 L. japonica 의 경우에도 그들의 내 장 내용물이 세립질 퇴적물로 구성된 경우가 많다. 사질 또는 역질의 조립질 퇴적 물이 우세한 환경에 서식하는 관서 다모류는 내장이 매우 세립질의 퇴적물로 채워 져 있고 , 또한 그들의 서관도서식지 퇴적물에 비해 세립질의 입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사실들은 이들 다모류가 식이와 서관 형성에 서관의 구조와 지역적인 분포 양상은 동해 대륙붕에서의 서식지 환경 특징인 해저지형 구조 또는 수심, 먹 이의 공급원, 퇴적환경의 에너지 분포에 의한 퇴적물 입도 조성등과 잘 일치됨을 보여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