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formance Analysis of The CCITT X.25 Protocol

X. 25 Protocol의 성능 분석

  • 최준균 (한국과학기술원 통신공학연구실) ;
  • 은종관 (한국과학기술원 통신공학연구실)
  • Published : 1986.02.01

Abstract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performance, particularly the flow control mechanism, of the CCITT X.25 protocol in a packet-switched network. In this analysis, we consider the link and packet layers separately, and investigate the performance in three measures; normalized channel throughput, mean transmission time, and transmission efficiency. Each of these measures is formulated in terms of given protocol parameters such as windos size, $T_1$ and $T_2$ values, message length, and so forth. We model the service procedure of the inpur traffic based on the flow control mechanism of the X.25 protocol, and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the sliding window flow control with the piggybacked acknowlodgment scheme using a discrete-time Markov chain model. With this model, we study the effect of variation of the protoccol parameters on the performance of the X.25 protocol. From the numerical results of this analysis one can select the optimal valuse of the protocol parameters for different channel environments. it has been found that to maintain the trasnmission capacity satisfactorily, the window size must be greater than or equal to 7 in a high-speed channel. The time-out value, $T_1$, must carefully be selected in a noisy channel. In a normal condition, it should be in the order of ls. The value of $T_2$ has some effect on the transmission efficiency, but is not critical.

본 논문에서는 packet switching network의 국제 표준 접속 protocol인 CCITT X.25 protocol의 성능을 분석하며 특히 X.25 protocol의 유통 제어 방식에 대하여 분석한다. Protocol의 성능 분석은 normalized channel throughput, mean transmission time과 transmission efficiency를 사용하면 이들은 window 크기, $T_1$$T_2$ 값 그리고 message길이 등과 같은 주어진 protocol parameter의 함수로 표시된다. 먼저 protocol 서비스에 따른 입력 데이타의 서비스 특성과 piggybacked acknowledgment를 하는 sliding window flow control 방식에 대하여 discrete-time Markov chain을 사용하여 연구한다. Protocol의 성능은 link layer 및 packet layer 에 대하여 각기 독립적으로 분석하며 분석결과를 통하여 각 protocol parameter의 영향을 조사한다. 수치적인 분석 결과로 부터 채널 서비스 환경에 따른 protocol parameter의 최적치를 찾을 수 있는데 window크기는 고속채널의 경우 7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 하며, $T_1$ timer 값은 채널의 전송 유실이 많은 경우 신중히 선택되어져야 하며 보통의 경우에는 1초 정도가 타당하다. $T_2$ parameter는 trnasmission efficiency의 개선에 있어 약간의 효과를 미치나 그리 크지는 않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