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로파괴와 파괴역학에 관하여

  • 발행 : 1986.10.01

초록

대량생산화, 대량수송화, 대량저장화, 고속화, 에너지 절약화 등 변천하는 시대의 흐름에 따른 혁신적인 요구에 호응하기 위한 구조물 및 기기의 대형화나 고성능화에 대한 문제나 새로운 환 경의 적응 문제 등에 봉착하게 되었다. 따라서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어 상기의 요구에 호응하는 특수한 고강도강, 내식재료, 고인성 저온재료를 개발하여 적용시켜 왔지만 새로운 기술, 새로운 조건에 미흡한 경험과 새로운 지식의 결여 등으로 인하여 파괴는 끊이지 않았으니 이에 새로운 문제점을 잉태하였으며, 오랫동안 반성을 함께 하는 시련을 겪지 않을 수 없었다. 따라서 주어진 각 조건과 문제점에 따른 새로운 방법론이 대두되고 각 분야의 지식 축적과 발전에 의하여 각 각의 문제를 해결해 왔다. 이와 같은 끓임없는 노력으로 파괴의 사고건수는 나날이 감소되었 지만 전체 파괴 중 피로파괴는 줄지 않고 문헌에 따라 60~90%로 분석되어지고 있다. 피로파 괴는 "돌연의 파괴"이므로 각종 파괴 중에서 특별히 경계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과거의 특이할 만한 파괴의 예를 들어 파괴역학의 발달과 더불어 확장. 적용되어 온 최근의 파 괴에 관한 흐름을 알아 보겠다.름을 알아 보겠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