잣나무와 일본잎갈나무 상체상(床替床)에 있어서 잡초방제(雜草防除)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Weed Control in Transplanted Bed of Pinus koraiensis S. et. Z and Larix leptolepis Gordon

  • Ahn, Y.H. (College of Agriculture, Wonkwang University) ;
  • Chung, J.C. (College of Agriculture, Wonkwang University) ;
  • Han, S.S. (College of Agriculture, Wonkwang University)
  • 발행 : 1985.12.30

초록

잣나무(Pinus koraiensis S. et. Z.)와 일본잎갈나무(Larix leptolepis Gordon) 상체상(床替床)에 있어서 잡초방제(雜草防除)를 목적(目的)으로 6종(種)의 제초제(除草劑)를 묘이식(苗移植) 7일(日) 후에 토양처리(土壤處理)하여 제초효과(除草效果) 및 수목(樹木)의 약해(藥害)를 검정하였고 토양표면처리시(土壤表面處理時) 비산(飛散), 부주의(不注意) 등으로 야기될 수 있는 약해유무(藥害有無)를 판정하기 위하여 수목(樹木)에 대한 경엽처리(莖葉處理)를 약해(藥害) 및 생육상황(生育狀況)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다. 1. 공시약제(供試藥劑)의 토양표면처리(土壤表面處理) 결과(結果) 표준시용량(標準施用量)에서 화본과(和本科) 잡초(雜草)에 대한 살초효과(殺草效果)는 oxyfluorfen, alachlor, terbutryn은 85~90%의 방제율(防除率)로 우수(優秀)하였고 pendimethalin과 simazine은 78%내외(內外)의 방제율(防除率)이였으며 ustinex는 60%정도(程度)의 방제율(防除率)을 나타냈다. 2. 광엽잡초(廣葉雜草)에 대한 살초효과(殺草效果)는 simazine, oxyfluorfen, pendimethalin, terbutryu 순(順)으로 70~80%의 방제율(防除率)을 나타냈다. 3. 다년생(多年生) 잡초(雜草)인 쑥, 메꽃에 대해서의 살초효과(殺草效果)는 ustinex와 oxyfluorfen이 85% 이상(以上)의 우수(優秀)한 방제율(防除率)을 나타냈고 기타 공시약제(供試藥劑)는 50% 이하(以下)의 저조한 방제율(防除率)을 나타냈다. 4. 토양표면처리(土壤表面處理) 결과(結果) 잣나무와 일본잎갈나무에 대한 초기약해(初期藥害)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생육현황(生育現況)도 관행구(慣行區)에 비하여 떨어지지 않았다. 5. 경엽처리(莖葉處理)는 없었으며 생육(生育)은 관행구(慣行區)에 비하여 뒤지지 않았으며 일본잎갈나무에 대한 초기약해(初期藥害)는 ustinex, oxyfluorfen, terbutryn, pendimethalin처리구(處理區)의 순(順)으로 크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생육현황(生育現況)도 약해정도(藥害程度)에 비례하여 상당히 저조하였다.

To establish the weed control in transplanted bed of Pinus koraiensis and Larix leptolepis, alachlor, simazine, terbutryn, pendimethalin, oxyfluorfen and amitrol/2,4-D/methabenthiazuron (ustinex) were used by soil treatment and foliage application at 7days after transplantion of seedling. From the of soil treatment, grasses such as Dimeria ornithopoda, Alopecurus aequalis, Agropyron tsukushiense and Setaria verticillata were effectively controVed by 85 to 90% at the respective recommended rate of oxyfluorfen, alachlor and terbutryn. At the application rate of recommentation simazine, oxyfluorfen, pendimethalin and terbutryn respectively controlled 70 to 80% of broad-leaved weeds such as Erigeron annuus, Portulaca olearcea, Cerastium arvense, Capsella bursa-pastoris, Commelina commuis, Chenopodium hybridum and Stellaria alsine. Ustinex and oxyfluorfen were very effective for the control of perennials such as Artemisia princeps and Calystegia japonica. Initial sympton of phytotoxicity and decrease of growth in P. koreaiensis and L. leptolepis were not found by soil treatment and those in P. koraiensis was not shown by foliage application of all tested herbicides. But L. leptolepis foliage-applied with ustinex, oxyfluorfen, terbutryn and pendimethalin was great in early phytotoxicity and severe in growth inhibi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