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한국잡초학회지)
- Volume 5 Issue 1
- /
- Pages.35-42
- /
- 1985
- /
- 0253-7648(pISSN)
Effect of Varous Factors on Emergence and Control of Sagittaria pygmaea Miquel
올미의 출아(出芽) 및 방제(防除)에 미치는 환경요인(環境要人)의 영향(影響)
- Han, S.S. (College of Agriculture, Wonkwang University) ;
- Ryang, H.S. (College of Agriculture, Jeonbug National University) ;
- Konnai, M. (College of Agriculture, Utsunomiya University) ;
- Takematsu, T. (College of Agriculture, Utsunomiya University)
- Published : 1985.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emergence and control of Sagittaria pygmaea Miquel in greenhouse. Emergence of S. pygmaea delayed as the amount of rice straw increased. When the tuber was sowned at 5 to 7㎝ soil depth the emergence of S. pygmaea delayed more in the hard condition of soil than that of the soft condition the large size tuber of S. pygmaea showed less control rate than the small size one at the rate of 2 to 3㎏ prod/10a of butachlor-naproanilide mixtures. The tubers of S. pygmaea seeded at the deeper soil depth decreased weeding efficicy of this mixture. Butachlor-naproanilide mikture showed higher weeding effects at the high temperature and at 2 to 4cm depths of water management than those of the low temperature and at 0cm and 6cm water depths. Weed control rate increased as the rate of butachlor-naproanilide mixture increased. The rate of 4㎏ (prod.)/10a showed good weed effect regardless of application times till 7.5 leaf stage of S. pygmaea. Tuber production of S. pygmea increased as the application time of mixture delayed.
볏짚시용량(施用量)과 토양경도(土讓硬度)의 차이(差異)에 따른 올미의 출아상태(出芽狀態) 및 미치는 몇가지 환경요인(環境要人)의 영향(影響)에 대하여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볏짚시용량((施用量)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동일심도내(同一深度內) 공시(供試)한 올미괴경(塊莖)의 전출아일수(全出芽日數)가 길어지거나 동일자(同日字)에 출아(出芽)되는 수(數)에 차이(差異)가 있었다. 2. 토양(土壞)의 경(硬) 연(軟)에 관련(關聯)없이 1~3cm치상(置床)에서는 출아일수(出芽日數)의 차이(差異)가 있었다. 5~7cm심도(深度)에서는 무진압구(無鎭壓區)에서 출아일수(出芽日數)가 길었고 동일자(同日者)의 출아수(出芽數)도 적었다. 3. butachlor - naproanilide 합제(合劑)의 제초효과(除草效果)는 2~3kg prod./10a 처리약량(處理藥量)에서는 올이괴경(塊莖)이 클수록 떨어지는 경향(傾向)이었다. 그러나 4kg prod./10a 약량(藥量)에서는 올미괴경(塊莖)의 크기에 관계없이 높은 방제율(防除率)을 나타냈다. 4. 동일약량수준(同一藥量水準)에서 올미에 대한 본(本) 합제(合劑)의 제초효과(除草效果)는 발생심도(發生深度)가 깊을수록 그리고 온도(溫度)가 낮을수록 떨어졌다. 5. 2~3kg prod./10a 약량(藥量)에서는 처리시기(處理時期)가 늦을수록 butachlor-naproanilide 합제(合劑)의 올미방제효과(防除效果)가 떨어지고 괴경형성수(塊莖形成數)로 증가(增加)하였으나 4kg prod./10a 약량(藥量)에서는 처리시기(處理時期)에 관계(關係)없이 올미 7~7.5 엽(葉)까지 효과(效果)의 차이(差異)가 없었다. 6. butachlor - naproanilide의 올미 방제효과(防除效果)는 2~4cm 담수조건(湛水條件)에서보다 0cm 6cm 담수조건(湛水條件)에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