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es of Mineral Composition and Grain Size of the Sandstones from the Daedong Group

대동층군(大同層群) 사암(砂岩)의 광물성분(鑛物成分)과 입도분석(粒度分析)에 관(關)하여

  • Yu, Kang Min (Department of Geology, College of Science, Yonsei University Seoul)
  • 유강민 (연세대학교 이과대학 지질학과)
  • Published : 1985.06.30

Abstract

Mineral composition and grain size analyses of the sandstone from the Early Jurassic Daedong Group distributed in Mungyeong, Daecheon, Kimpo and Yeoncheon areas were made for the study of provenances and depositional environments. The most of the analyses are obtained from Mungyeong area, with some preliminarly works from Daecheon, Kimpo and Yeoncheon areas. All sandstones from the study area are characterized by high content of quartz ranging from 59.8 to 87.2 percent of total constituents. Many of quartz which has rounded dust ring seems to come from aeolian sediments. Content of feldspar is very low except Daecheon area where it ranges from 1.8 to 10.0 percent. Sandstones from Mungyeong, Kimpo and Yeoncheon areas are classified as quartz and quartzose arenite/wacke, while those from Daecheon area are classified as quartzose and lithic arenite/wacke. According to the character of the sandstones, provenance could be quartzose sandstone and quartzite. Results of grain size analysis of C-M and sorting versus skewness suggest that depositional environment seems to be fluvial, while log-probability curve pattern lacustrine environment. It is hard to derive a definite conclusion of sedimentary environment by the grain size analysis.

초기 쥬라기 대동층군(大同層群)의 사암(砂岩)을 대상으로 광물성분분석(鑛物成分分析)과 입도분석(粒度分析)을 퇴적물(堆積物) 공급지(供給地)와 퇴적환경(堆積環境)을 유추하기 위하여 대동층군(大同層群)의 분포지인 문경(聞慶), 대천(大川), 김포(金浦), 연천(漣川) 지성(地城)에 대해 실시하였다. 사암(砂岩)의 광물(鑛物) 및 입도분석(粒度分析)은 문경지역(聞慶地域)을 중점적으로 하여 대천(大川), 김포(金浦), 연천지성(漣川地城)의 일차적 결과를 첨부하였다. 연구지역(硏究地域)의 사암(砂岩)은 59.8~87.2%의 높은 함량의 석영(石英)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석영(石英)중 많은 수가 풍성층(風成層)에서 생성되어지는 원마도가 좋은 dust ring을 나타낸다. 장석(長石)은 극히 드물게 함유되어 있다. 허나 대천지성(大川地城)의 사암(砂岩)은 타지역보다 높은수치인 1.8~10.0%를 함유하고 있다. 연구지역(硏究地域)의 사암(砂岩)의 특성으로부터 대동층군(大同層群)의 공급지(供給地)는 석영질사암(石英質砂岩) 내지 규암(硅岩)이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사암(砂岩)은 quartz 내지 quartzose arenite 및 wacke로 분류되며 단, 대천(大川)의 사암(砂岩)은 quartzose 내지 lithic arenite 및 wacke로 분류된다. C-M과 sorting-skewness 그림표의 결과는 하천성환경(河川性環境)을, 누적곡선의 양상은 호수성환경(湖水性環境)을 시사하고 있어 퇴적환경(堆積環境)에 관한 타증거가 필요하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