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처리하여 동결한 잉어 및 붕장어의 어묵원료적성

Fish Jelly Forming Ability of Pretreated and Frozen Common Carp and Conger Eel

  • 양승택 (부산산업대학교 식품과학과) ;
  • 이응호 (부산수산대학 식품공학과)
  • YANG Syng-Taek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Pusan Sanub University) ;
  • LEE Eung-H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발행 : 1985.03.01

초록

잉어와 붕장어의 어체 전처리 방법에 따른 동결저장중의 어묵형성능에 관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어체 전처리방법으로써 전어체, 채육기로 채육한것, 채육하여 수세탈수한 것 및 고기풀의 4종 상태로 처리하여 $-30^{\circ}C$에서 3개월 동안 동결저장했을때 원료 및 제품의 품질은 모두 전체적으로 양호한 편이었다. 어체 전처리방법에 따라 처리하여 동결저장한 원료로써 만든 어묵제품 품질은 잉어의 경우, 전어체 그대로 동결저장하는 것이 제품 품질이 가장 양호하였고 그 다음이 채육기로 채육한 것, 채육하여 수세탈수한 것 및 고기풀의 순이었으며, 붕장어에서는 고기풀 상태로 저장한 것이 가장 좋았으며 다음이 전어체, 채육하여 수세탈수한 것, 채육기로 채육한 것의 순이었다.

Changes in fish jelly forming ability of pretreated and frozen common carp and conger eel were examined. Four kinds of pretreated samples were prepared such as round, mechanically separated meat using fishmeat separator, chopped and water washed meat and fish meat paste. The quality of pretreated samples and fish jelly products made from pretreated sample were generally in good condition for three months of frozen storage at $-30^{\circ}C$. Judging from fish jelly forming ability, the round state of common carp was superior to other pretreated samples during frozen storage. In case of conger eel, fish meat paste revealed totter jelly forming ability than any other pretreated samples during frozen storag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