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석에 따른 낙동강 하류수질의 변화

Water Quality Variations due to Tidal Change in the Lower Part of the Nagdong River

  • 김용관 (부산전문대학 식품가공과) ;
  • 장동석 (부산수산대학 미생물학과) ;
  • 문홍영 (부산전문대학 공업화학과)
  • KIM Yong-Gwan (Department of Food Processing, Pusan Junior College) ;
  • CHANG Dong-Suck (Department of Microbi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MOON Hong-Young (Department of Chemical Industry, Pusan Junior College)
  • 발행 : 1985.03.01

초록

낙동강 하류 수계는 농업, 수산업, 공업 등의 제반 산업 용수 뿐만아니라 부산시민의 상수 급수원으로도 매우 중요하다. 해수의 역류를 막고 강수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하구언 공사를 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하구언이 설치되기 이전과 이후의 수질변화에 대한 기초 재료를 얻기 위하여 1981년 12월부터 1982년 11월까지 매 월 2회씩 15개 지점에서 총 360개 시료를 취하여 분석하였다. 이들 시료에 대하여 수온, pH, 염소 ion 농도 및 염분도, 위생지표세균, 생균수, 대장균군 조성 등에 대한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온의 연간 변화는 $2.0{\sim}29.5^{\circ}C$로 변화폭이 컸으며, 수온의 평균치는 $15.8{\sim}18.9^{\circ}C$의 분포였다. 상부수온은 기온의 변화에 영향을 많이 받았고, 하구 수역에서는 계절에 따라 완만하게 변하였다. 2. pH의 연간 변화는 $6.00{\sim}8.88$이었으며, 평균치는 $7.20{\sim}7.96$으로 변하였다. 지점 6을 기점으로 상부에서는 밀물시 보다 썰물시에 약간 상승하였고 하구와는 대조적이었다. 3. 지점 1에서 5까지의 연간 염소 ion농도는 $5.20{\sim}l,805mg/l$로서 지점별 차이는 매우 컸었다. 밀물시의 염소 ion농도는 $17.51{\sim}771mg/l$로서 썰물시의 $13.12{\sim}264.58mg/l$ 보다 높았으며. 하단에서 약 46km 떨어진 지점 1(삼낭진)까지도 조석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또, 연간 염분도의 변화는 $1.32{\sim}34.17\%0$로서 지점별로 차이가 켰었다. 밀물시의 염분도는 $11.05{\sim}31.08\%0$로서 썰물시의 $7.80{\sim}29.28\%0$보다 약간 높았으며, 제3 수로는 조석에 따른 심한 변동이 없었다. 연안 수역의 염분도 변화는 강우량에 크게 관계되므로 특히, 여름철은 가변성이 많았다. 4. 대장균군 최확수는 $3.6{\sim}460,000/100ml$으로 넓은 분포범위였다. 상부수역에서의 기하평균치는 $295{sim}538/100ml$ 였고, 중부수역은 $1,079{\sim}39,544/100ml$로 극심한 오염도를 나타냈으며, 특히, 썰물시에는 제1 수로의 지점 10까지 영향을 미쳤다. 5. 분편계대장균 최확수는 $3.0{\sim}460,000/100ml$로 넓은 분포범위였다. 상부수역에서의 분편계대장균 최확수의 기하평균치는 $109{\sim}199/100ml$였는데, 지점 5(구포)에서 지점 7에 이르면 $1,558{\sim}15,030/100ml$로 매우 불결하여 지는 것은 대장균군에서와 같은 양상이었다. 이는 구포, 삼락, 덕포, 하단 등지에서 유입되는 가정 하수, 공단의 각종 폐수, 어선에서의 배출오물 그리고 조류의 배설물 등이 오염원이 된다. 6. 시료에서 분리된 총 1,524 균주로부터 대장균군의 조성을 시험한 결과는 Escherichia coli 군이 $17\%$, Citrobacter freundii 군이 $33\%$, Enterobacter aerogenes 군이 $28\%$, 기타 $21\%$ 였다. 7, 일반 생균수는 $<30{\sim}3.9{\times}10^4/ml$이었으며, 오염도가 높았든 지점 6, 7은 각각 $500{\sim}39,000/ml,\;500{\sim}30,000/ml$으로 타 지점보다 생균수도 높은 수치로 나타 났었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water quality in the lower part of the Nagdong river in Korea. Three hundred and sixty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15 stations from December 1981 to November 1982 by tide(see Fig.1). Water temperature, pH, chloride ion, salinity, total coliform, fecal coliform, viable cell count and the composition of coliform were observed to evaluate the water quality. The variations of water temperature was ranged from $2.0^{\circ}C\;to\;29.5^{\circ}C$ and as mean value from $15.8^{\circ}C\;to\;18.9^{\circ}C$. The range of pH was 6.00-8.88 and 7.20-7.96 as mean value. The concentration of chloride ion from St. 1 to 5 was higher as 17.51-771 mg/l in flood tide than 13.12-264.58 mg/l in ebb tide. Specially, water quality at St.1 (Samrangjin) which located about 46 km far from Hadan was also influenced by tide. Salinities of water in flood tide were a litte higher ($11.05{\sim}31.08\%0$) than those of in ebb tide ($7.80{\sim}29.28\%0$). Total coliform MPN's ranged from 3.6/100 m/l to 460,000/100ml. The geometric mean value of the upper area (included St. $1{\sim}3$) was $259{\sim}538/100ml$, that of the middle area (included St. $4{\sim}6$) was $1,097{\sim}39,544/100ml$ for it leveled heavy contamination. Specially, in the ebb tide St. 10 was influenced by St. 6 and 7. In the upper area, the geometric mean value of fecal coliform MPN's was $109{\sim}199/100ml$ but in the area in cluded St. 5, 6 and 7 were heavily contaminated by domestic sewage, waste water from the factories area and bird's excrement. Composition of coliform was $17\%$ Escherichia coli group, $33\%$ Citrobacter freundii group, $28\%$ Enterobacter aerogenes group and $21\%$ others. Plate count of samples was varied from <30 to $3.9{\times}10^4/ml$ during the study perio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