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수어의 지질에 관한 연구 6. 천연 및 양식 가물치의 지질성분 비교

Studies on Lipids in Fresh-Water Fishes 6. Comparison of Lipid Components between Wild and Cultured Snakehead, Channa argus

  • 최진호 (부산수산대학 식품영양학과) ;
  • 배태진 (부산수산대학 식품영양학과) ;
  • 변대석 (동경대학 의학부) ;
  • 윤태헌 (한림대학 임상영양연구소)
  • CHOI Jin-Ho (Department of Nutrition and Food Scienc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BAE Tae-Jin (Department of Nutrition and Food Scienc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BYUN Dae-Seo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kyo) ;
  • YOON Tai-Heon (Clinical Nutrition Research Center, College of Hallym)
  • 발행 : 1985.07.01

초록

양식 가물치의 품질을 지질성분면에서 평가하기 위하여 천연 및 양식 가물치의 지질 조성 및 이들 지질의 구성지방산을 분석${\cdot}$비교하고, 양식 가물치의 지방산과 사료 지방산을 분석${\cdot}$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지질 함량은 양식산이 천연산 보다 높았으며 부위별로는 내장부가 가식부 보다 훨씬 높았다. 2. 지질 조성은 천연산과 양식산이 다같이 중성지질의 함량이 가장 높고, 인지질, 당지질의 순이었다. 중성지질의 조성은 가식부는 TG의 함량이, 내장부는 ES 및 HC의 함량이 높았으며, 인지질의 조성은 가식부 및 내장부가 다 같이 PC가 가장 많고, 그 다음이 PE 였다. 이런 경향은 천연산과 양식산사이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3. 가식부의 중성지질의 지방산 함양은 $C_{14:0},\;C_{16:0},\;C_{18:1},\;C_{20:5},\;C_{22:5},\;C_{22:6}$산은 양식산이 천연산 보다 높은 반면 $C_{18:0},\;C_{16:1},\;C_{18:2},\;C_{18:3},\;C_{20:4},\;C_{22:4}$산은 양식산이 천연산 보다 낮았다. 인지질의 경우에는 $C_{16:0},\;C_{18:1},\;C_{22:6}$산은 양식산의 천연산 보다 높은 반면 $C_{16:1},\;C_{18:2},\;C_{18:3},\;C_{20:4},\;C_{22:4},\;C_{22:5}$산은 양식산이 천연산 보다 낮았다. 4. 불포화도(TUFA/TSFA)와 w3 고도불포화지방산 함량(w3 HUFA)은 중성지질은 양식산이 천연산 보다, 또 인지질은 천연산이 양식산 보다 높았다. 그러나 필수지방산 함양(TEFA)은 중성 및 인지질에서 다같이 천연산이 양식산 보다 높았다. 5. 사료 지방산(B)에 대한 양식 가물치 지방산(A)의 비(A/B)를 보면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eicosapentaenoic acid 및 docosahexaenoic acid 의 A/B비가 $0.35{\sim}2.04$로 아주 낮아, 이들 불포화지방산의 polyene 산의 생합성에 관계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lipid components between wild and cultured snakehead, Channa argus. The lipid components of cultured snakehead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at of wild snakehead. In both edible portion and viscera, the lipid content in cultured, snakehead was higher than that in wild one.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neutral lipid in edible portion, percentages of $C_{14:0},\;C_{16:0},\;C_{18:1},\;C_{20:5},\;C_{22:5}\;and\;C_{22:6}$ in cultured snakehead were higher than those in wild one, while percentages of $C_{18:0},\;C_{16:1},\;C_{18:2},\;C_{18:3},\;C_{20:4}\;and\;C_{22:4}$ lower. In the case of phospholipid in edible portion, percentages of $C_{16:0},\;C_{18:1}\;and\;C_{22:6}$ in cultured snakehead were higher than those in wild one, while percentages of $C_{16:1},\;C_{18:2},\;C_{18:3},\;C_{20:4},\;C_{22:4}\;and\;C_{22:5}$ lower. The unsaturation (TUFA/TSFA) and w3 highly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w3 HUFA) of neutral lipid in cultured snakehead were higher than those in wild one, while those of phospholipid lower. The essential fatty acid contents (TEFA) of both neutral and phospholipids in wild snakehead were higher than those in cultured one. In the ratio (A/B) of fatty- acid content (A) in cultured snakehead to that (B) in diet, the A/B ratios of $C_{18:2\;w6},\;C_{18:3\;w3},\;C_{20:5\;w3}\;and\;C_{22:6\;w3}$ were 0.3 to 2.5 times, and it is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biosynthesis of polyenoic acids and growth rate of cultured snakehea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