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우리 나라 전통수산가공식품인 천연산 마른 둥근돌김과 양식산 마른 참김의 지방질을 실리스산 관크로마토그래피로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로 분획하고 TLC 및 GLC로써 이들 지방질획분의 지방질조성 및 지방산조성을 분석하였다.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의 함량은 중량비로서 천연산 마른 둥근돌김은 $21.4\%,\;53.4\%,\;25.2\%$였고, 양식산 마른 참김이 $30.5\%,\;50.3\%,\;19.2\%$로서 모두 당지질함량이 월등히 높았다. 천연산 마른 둥근돌김 및 양식산 마른 찬김의 중성지질조성은 양자 모두 유리지방산이 $41.3\%,\;39.0\%$ 트리글리세리드 $25.6\%,\;28.8\%$, 유리스테롤 $22.1\%,\;16.7\%$로 주요구성성분이었다. 당지질조성은 천연산 마른 둥근돌김 및 양식산 마른 참김 모두 digalactosyl diglyceride와 monogalactosyl diglyceride가 주성분을 이루고 있었다. 그리고 양식산 마른 참김에는 천연산 마른 둥근돌김에 존재하지 않는 sulfoquinovosyl diglyceriae가 $4.2\%$ 함유되어 있었다. 인지질조성을 보면 천연산 마른 둥근돌김과 양식산 마른 참김에는 phosphatidyl ethanolamine 과 phosphatidyl choline이 주요구성성분이었고, 다음이 phosphatidyl serine 및 phosphatidyl inositol 이었다. 천연산 마른 둥근돌김의 총지방질의 주요구성지방산은 20:5($29.4\%$), 16:0($23.4\%$) 및 20:4산($13.0%$)이였고, 양식산 마른 참김은 20:5($36.7\%$), 16:0($16.2\%$), 16:1($10.7\%$) 및 18:1산($9.7\%$)이었다. 중성지질의 지방산조성은 총지방질의 지방산조성과 그 패턴이 비슷하였다. 천연산 마른 둥근돌김 및 양식산 마른 참김의 인지질의 지방산조성은 20:5, 16:0 및 18:1산 등의 조성비가 높았고, 당지질의 경우 천연산 마른 둥근돌김은 16:0, 20:5, 18:1 및 20:4산이었고, 양식산 마른 참김은 20:5, 16:0 및 18:1산이 주요구성지방산이었다. 전체적으로 보아 천연산 마른 둥근돌김 및 양식산 마른 참김의 주요구성지방산은 16:0, 16:1, 18:1, 20:4 및 20:5산이었다. 양식산 마른 참김이 천연산 마른 둥근돌김보다 20:5 및 16:1산의 함량이 높은 반면 20:4 및 16:0산의 함량은 낮은 경향이었다.
Lipids extracted from two kinds of sun-dried laver samples, wild Porphyra suborbiculata and cultured Porphyra tenera, produced at Wan-do in Korea were studied. Dried P. suborbiculata contained $0.8\%$ total lipid(TL) which consisted of $21.4\%$ neutral lipid(NL), $53.4\%$ glycolipid(GL) and $25.2\%$ phospholipid(PL), and dried P. tenera contained $1.2\%$ TL which consisted of $30.5\%$ NL, $50.3\%$ GL and $19.2\%$ PL. Among the NL of dried P. suborbiculate and P. tenera, free fatty acid ($41.4\%,\;39.0\%$), triglyceride($25.6\%,\;28.8\%$) and free sterol ($22.1\%,\;16.7\%$) were predominant. Digalactosyl diglyceride ($34.7\%,\;46.6\%$) and monogalactosyl diglyceride ($19.2\%,\;18.0\%$) were the major components among the GL. Sulfoquinovosyl digylceride ($4.2\%$) was also identified in P. tenera only. And main lipids in the PL of P. suborbiculata and P. tenera were phosphatidyl ethanolamine ($40.3\%,\;35.7\%$) and phosphatidyl choline ($28.6\%,\;30.7\%$) and followed by phosphatidyl serine($15.1\%,\;19.2\%$) and phosphatidyl inositol ($16.0\%,\;14.4\%$). The major fatty acids in the TL of the dried P. suborbiculata were 20:5 ($29.4\%$), 16:0 ($23.4\%$) and 20:4 ($13.0\%$), and those of the dried P. tenera were 20:5 ($36.7\%$), 16:0 ($16.2\%$), 16:1 ($10.7\%$) and 18:1 ($9.7\%$).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both samples in the NL fraction were similar to the pattern in those of the TL. The abundant fatty acids in the PL of the both dried laver were 20:5, 16:0 and 18:1. In case of the GL fraction, the main fatty acids of the dried P. suborbiculata were 16:0, 20:5, 18:1 and 20:4, while those of the dried P. tenera were 20:5, 16:0 and 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