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ative Study on Amino Acid Profiles of Wild and Cultured Carp, and Israeli Carp

천연 및 양식산 잉어와 이스라엘 잉어의 구성아미노산에 대한 비교연구

  • CHOI Jin-Ho (Department of Nutrition and Food Scienc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RHIM Chae-Hwan (Department of Nutrition and Food Scienc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CHOI Yeung-Joon (Department of Nutrition and Food Scienc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PARK Kil-Dong (Korea Ginseng and Tabacco Research Institute) ;
  • OH Sung-Ki (College of Industry, Kyunghee University)
  • 최진호 (부산수산대학 식품영양학과) ;
  • 임채환 (부산수산대학 식품영양학과) ;
  • 최영준 (부산수산대학 식품영양학과) ;
  • 박길동 (한국인삼연초연구소 인삼검사소) ;
  • 오성기 (경희대학교 산업대학 식품공학과)
  • Published : 1985.11.01

Abstract

The muscles of wild and cultured carp (Cyprinus carpio), and Israeli carp (Cyprinus carpio nudus) were analyzed for the amino acid profiles, in vitro digestibility, predicted digestibility, C-PER and DC-PER.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total amino acid profiles in wild and cultured carp were found to be very similar, although there were relatively large differences in lysine, aspartic acid and glutamic acid contents which were higher in the cultured carp. Israeli carp was 2 times as much as wild carp in lysine. The quality of muscle proteins in wild and cultured carp, and Israeli carp was predicted by the in vitro method. The protein quality of Israeli carp was higher than that of wild and cultured carp, whereas there showed a similar tend to protein quality between wild and cultured carp. The contents of hitidine, tyrosine, aspartic acid, alanine and glutamic acid in diet showed stronger positive corelation with the levels of protein deposition than those of protein intake, and those amino acids would greatly influence on amino acid composition of muscle protein in fishes.

담수어로서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고 있는 잉어와 이스라엘 잉어의 식품학적, 영양학적 가치평가를 위하여 육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하고, 사료단백질의 아미노산조성이 육단백질의 아미노산조성에 미치는 영향도 아울러 검토하였다. 또한 in vitro법에 의한 단백질의 품질추정을 위한 실험을 병행하였다. 천연산 및 양식산 잉어육의 단백질 함량은 각각 $17.0\%$$16.1\%$이었으며, 이스라엘 잉어의 조단백질 함량은 $17.8\%$이었다. 양식사료의 조단백질 함량은 치어가 $32.6\%$, 성어가 $24.9\%$이었으며, 이스라엘 잉어사료는 $26.4\%$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었다. 육단백질의 총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천연산에 비하여 양식산이 lys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의 함량이 다소 높았다. 또한 lysine, arginine, aspartic acid, alanine의 함량이 전체 아미노산의 $52\%$를 차지하여 비교적 많은 함량임을 알 수 있었다. 이스라엘 잉어는 lysine의 함량이 극히 높았으나 cysteine, methionine, proline 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천연 및 양식산 잉어에 비하여 아미노산 함량은 낮은 편이었다. 사료단백질의 아미노산 종 histidine, tyrosine, aspartic acid, alanine, glutamic acid는 어육의 축적단백질로서, 어육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에 영향을 미칠것으로 판단된다. in vitro digestibility, predicted digestibility, C-PER, DC-PER로서 비교했을 때 양식산과 천연산간에는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스라엘 잉어의 경우는 이들 잉어에 비하여 다소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