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A sweet corn hybrid, Honey Bantam, was planted on 24 May, 1984 in a silty clay loam soil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lyethylene(P.E.) mulch and different levels and placements of Nitrogen(N) on soil properties and sweet corn growth. A split-split plot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was employed; P.E. mulch and bare soil were main plot, N levele of 8, 12, 16, and 20 kg/10a were subplot, and band and broadcast of fertilizers were sub-subplots. At early growth stage soil temperature under P.E. mulch was higher than that in bare soil by 5-10$^{\circ}C$, but the differences decreased as plant growth advanced. Soil hardness increased with soil depth while P.E. mulch reduced soil hardness probably by holding high soil moisture. Soil pH decreased up to the 6th week after planting and then increased in bare soil, but it contineously decreased up to the 8th weeks under P.E. mulch regardless N levels and placements. Electrical conductivity(EC) of soil increased up to the 6th weeks after planting and then decreased in all treatments except broadcast of fertilizers under P.E. mulch where EC increased contineously. Generally, soil EC under P.E. mulch was higher than that in broadcast. Broadcast of fertilizers did not affect emergence of seedlings in all N levels under P.E. mulch and bare soil, but band of fertilizers at all N levels under P.E. mulch and higher levels of N in bare soil reduced emergence rate significantly. Percent stand was possitively correlated with soil EC and it strongly influenced the number of marketable ears. Plant growth was enhanced and silking date was earlier by 14-19 days under P.E. mulch compared to bare soil probably due to increased soil moisture, reduced soil hardness and higher soil temperature.
투명P.E. 필림피복, 질소시비량 및 시비방법이 신경지정이지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과 단옥수수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저 시험을 실시하였다. 공시품종은 Honey Bantam이었고 1984년 5월24일 파종하였으며 토양은 미사질식양토이었다. 처리는 P.E. 피복유무를 주구, 질소시비량(8,12,16,20kg/10a)을 세구, 시비방법(전면시비, 파구시비)을 세세구로 하였으며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온은 P.E. 피복구가 무피복에 비하여 생육초기에는 5~1$0^{\circ}C$ 높았으나 파종후 30일부터는 차이가 없었다. 2. 토양경도는 토심이 깊을수록, 또 비온 후 일수경도할수록 높았으며 지표면의 경도는 비온 다음날은 차이가 없었으나 3일째는 무피복에서 P. E. 피복구보다 높았다. 3. 토양산도는 질소시비량과 시비방법에 관계없이 P.E.피복에서는 파파후 8주까지 계속 감소하였으나 무피복구에서는 6주까지 감소한 후 다시 증가하였다. 4. 토양의 전기전도도는 전기전도도가 계속 증가한 P.E. 피복의 전면시비구를 제외하면 모든 처리에서 파종 6주후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 토양의 전기전도도는 무피복보다는 P.E. 피복이 높고 전면 시비구에서 보다는 파구시비에서 높았다. 5. 전면시비는 P.E. 피복이나 무피복의 모든 질소시비량에서 출현율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였지만 모든 P. E. 피복의 질소시비량과 무피복의 질소다비구에서는 출현율이 현저히 낮았다. 토양의 전기전도도와 입묘율간에는 부의 상관이 있었으며 입묘율은 상품성있는 자수수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6. P.E. 피복은 단옥수수의 초기생육을 촉진하고 무피복에 비하여 출사기가 14~19일 빨랐는데 그 원인은 지온상승이라기 보다는 토양수분보존과 토양경도가 감소되어 생육이 촉진되었기 때문인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