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logical Yielding Potential of Rice in Association with Climatic Factors in Yeongnam Region

영남지역 기상과 수도의 한계생산력 해석

  • Published : 1985.10.01

Abstract

Meteorological year variations for rice crop from 1973 to 1984 were compared by using air temperature and sunshine hour for nursery period, cooling index for reproductive stage and meteorological yield productivity index for ripening period. The most optimum transplanting date and heading date for crop yield based on real transplanting date-grain yield relationship or heading date-grain yield relationship, meteorological yield productivity index and actual results showed good agreement each other. Around May 26 for transplanting and August 10 for heading were the most optimum date in Indica/Japonica hybrid cultivars while these were about June 8 and August 23 for Japonica cultivars,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oretical late limiting heading date for safe ripening were August 20 for Indica/Japonica hybrid cultivars and August 30 for Japonica cultivars, respectively, for both methods, cumulative temperature method during ripening with 80% believable frequency and meteorological yield productive index method having 1000(kg/10a) yielding potential. Based on the yield forecast trial, the highest values of photosynthetic efficiency, 2.5%, and crop growth rate, 23g/㎡/day, were recorded during 30 days before rice heading. Considering the photosynthetic efficiency and solar radiation, the potential crop growth rate was more or less 30g/㎡/day and the biological grain yielding potential in a existing cultural practices was approximately 900-1000(kg/10a) in Milyang weather condition. To increase further yielding potential, either photosynthetic efficiency or harvest index or both should be improved by manipulating appropriate canopy architecture, plant spacing, fertilizer, chemical, etc.

영남지역 남부 2모작 평야지를 대표할 수 있는 밀양지방의 연도별 수도작 기상조건을 비교하고 수도작 이앙적기 및 한계기를 기상조건에 의한 분석방법과 수도재배 시기시험 성적결과에 의한 방법으로 추정하였고 기상요인에 의한 수량한계 생산력을 분석하였다. 1. 수도작 기상은 년차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였는데 못자리 기간중의 기상이 문제되었던 해는 1980년과 1976년도이었고 생식생장기의 냉해가 문제된 해는 1983. '81, '80, '74년도이었다. 한편 벼 등숙기 기상은 다수형 품종에 가장 불리하였던 해는 1980년도가 평년도의 66%의 기후등숙량으로 1973년이후 가장 좋지 못한 해이었고, 반대로 다수형 품종 등숙에 가장 좋았던 해는 평년 기상의 128%를 보인 1975년과 121%인 1977년이였다. 2. 벼 등숙기 등숙 적산온도(출수후 40일)로 본 안전출수한계기는 년차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였는데 다수형 품종의 등숙 적산온도를 88$0^{\circ}C$로 볼 경우 1975년도에는 8월 31 일에 출수하여도 되었던 것이 1980년도에는 8월 2일이였다. 한편 출수한계기를 다수형 품종 84$0^{\circ}C$, 일본형 품종 76$0^{\circ}C$로 보고 80% 신빙성을 지니는 일자는 각각 8월 20일 이전(다수형)과 8월 30일 이전(일본형)이였다. 이는 기후등숙량 분석방법에서 수량 1000kg/10a을 생산할 수 있는 기후한계기와 거의 일치하였다. 3. 밀양지방에서 최고 수량생산을 올리기 위한 최적 이앙기와 최적 출수기 설정은 기후등숙량 방법과 실제 이앙기와 쌀 수량과의 관계에 의한 방법과는 서로 잘 일치하였는데 다수형 품종은 5월 26일 전후 이앙에서 8월 10일전후의 출수가, 일본형 품종은 6월 8일 전후의 이앙으로 8월 23일경의 출수가 가장 높은 수량을 올릴 수 있었다. 4. 광합성효율(E$\mu$)과 건물중 증가율(CGR)은 5월 25일 이앙구보다 6월 20일 이앙구에서 높았고 품종별로는 삼강벼가 낙동벼보다 높았는데 출수전 30 일간이 가장 높은 수치인 광합성 효율 2.5%와 건물생산 증가율은 약 23g/$m^2$/day였다. 5. 밀양지방에서 일사량과 광합성 효율면에서 본 최대 건물중 생산가능량은 30g/$m^2$/day 미만이며, 목표수량 1,000kg/10a생산을 위한 제한요인은 출수기까지의 건물생산이였으며 등숙기 기상조건은 제한요인이 아니었다. 6. 밀양지방에서 삼강벼를 표준 재배법으로 재배할 경우 건물중 생산능력면과 수확지수면으로 볼 때 수량한계 생산력은 정조수량으로 900~l,000kg/10a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