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Anticoccidial Efficacy of an Unique Polyether Ionophorous Antibiotic, Maduramicin Ammonium in Comparison with Salinomycin Sodium and Monensin Sodium for Broiler Chicks

폴리에텔계 항생제인 Maduramicin ammonium, Salinomycin sodium 및 Monensin sodium이 육계에 있어서 항콕시듐 효능과 증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장두환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
  • 조영웅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
  • 윤희정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
  • 강세원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 Published : 1985.11.01

Abstract

Battery trial with 240 broiler chicks of Hubbard strain was conducted for a period of 2 weeks in order to compare the anticoccidical efficacy of polyether ionophorous antibiotics ; Maduramicin ammonium, Monensin and Salinomyc in sodium. The criteria used in these anticoccidial efficacy studies were anticoccidial index, growth rate, feed efficiency, mortality, lesion score and the number of oocysts produced after artificial inoculation with 70,000 sporulated oocysts of Eimeria tenella(90%) and E.necatrix (10%) to each bird. The result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 1. All groups medicated anticoccidial feed additives improved body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group medicated with Maduramicin showed better body weight gain (352.5 and 648.8 g) and feed efficiency(1.603 and 1.680) during the first and the second week experiments, 2. The mortality rate(4.2%) and lesion scores (1.72) of Maduramicin medicated group, from artificial coccidiosis were comparatively lower than those of other two medicated groups, 3. It was also found that oocyst output (0.25 ${\times}$ 10$^4$) in Maduramicin medicated group were lower than those of other two groups. 4. Anticoccidial indexes during the first week were 177.9 in Maduramicin medica-group, 158.7 in Salinomycin medicated group, 141.6 in Monensin medicated group and 78.0 in infected, nonmedicated group as compared with 200.0 in noninfected, nonmedicated group (NNC) 5. Anticoccidial indexes during the second week were 201.1 in Maduramicin group 184.0 in infected, nonmedicated group as compared with 200.0 in noninfected, nonmedicated group (NNC).

새로운 항콕시듐제인 polyether ionophorous antibiotics 인 Maduramicin ammonim 5 ppm 과 이미 수입되어 사용되고 있는 Salinomyc in 60ppm, 그리고 Monensin sodium 100 ppm등이 첨가된 사료로 초생추 240수를 사육하면서 이들 항콕시듐 효능 및 증체효과를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육계의 증체량은 오오시스트의 인공접종 1주일 후에 Maduramicin 5ppm 투약구가 352.5g으로서 가장 높았고 무감염 무투약구가 332.5g, Salinomycin 60ppm 투약구가 329.8g, Monensin 100ppm, 투약구가 277.8g, 감염무투 약구가 226.0g 순으로 나타났다. 인공접종 2주일 후의 체중은 Maduramicin 투약구가 648.8g으로 가장 높았고, 무감염무투약구가 617.0g, Salinomycin 투약구가 614.8g, Monensin 투약구에서 579.5g, 감염무투약구가 529.3g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안좋은 결과였다. 인공접종 2주일 후에도 Maduramicin 투약구가 1.680로 가장 우수하였고 감염투약구가 1.864로 가장 안 좋은 결과였다. 2. 사료효율은 인공접종 1주일 후에 Maduramicin 투약구에서 1.603fh 가장 우수하였고 감염투약구가 2.132로 가장 안 좋은 결과였다. 인공접종 2주일 후에도 Maduramicin 투약구가 1.680로 가장 우수하였고 감염무투약구가 1.864로 가장 안 좋은 결과였다. 3. 폐사율은 Maduramicin 투약구가 4.2%, Monensin 투약구가 8.3%, Salinomycin 투약구가 12.5%, 감염무투약구가 20.8%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4. 장의 병변도는 인공접종 1주일 후에 Monensin과 Maduramicin 투약구에서 각각 1.61과 1.72로 낮게 나타났고 감염무투약구에서는 2.92로 나타났다. 인공접종 2주일 후일에는 Maduramicin 투약구가 0.0425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Salinomycin 투약구는 0.335, Monensin 투약구는 0.375로 높게 나타났다. 5. 오오시스트수는 인공접종 1주일째 Maduramicin 투약구가 가장 적게 배출되었고, 인공접종 2주후에도 1,400개로 상당히 낮게 배출되었으며 Monesin 투약구는 1, 2주째 모두 비교적 많은 수를 배출하였다. 6. 항콕시듐제의 효능을 평가하는 항콕시듐 지수는 인공접종 1주일 후에 무감염무투약구 200에 대하여 Maduramicin 투약구는 177.9, Salinomycin 투약구는 158.7, Monensin 투약구는 141.6, 감염무투약구는 78.0의 순서로 나타났다. 인공접종 2주일 후에는 무감염무투약구가 200에 대하여 Maduramicin 투약구가 201.1, Salinomycin 투약구가 184.0, Monensin 투약구가 182.4, 감염무투약구가 164.1의 순으로서 Maduramicin 투약구가 가장 우수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