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약식반교양공법에 이용될 범용프로그램의 Sand Drain 공법에의 적용

Application of Numerical Analysis for Sand Drain by the Multi-purpose Program of Soft Foundation Analysis

  • 박병기 (정회원, 전남대학교) ;
  • 정진섭 (정회원, 원광대학교 조교수, 정회원, 송원전문대 조교수, 정회원, 전남대)
  • 발행 : 1985.12.01

초록

본문의 필자들은 연약지반의 다차원감밀을 포함하여 각종 개양공법을 시행할 경추 재하에 의한 웅전의 관력과 변형 그리고 문극수감거동 등의 해석과 나아가 시공관리 등을 포괄하는 연약지반해 석연의 다목적 프로그램의 개발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중에 있다. 1)-4) 그동안 몇차례에 걸헉 본프로 그램의 이론적 배경과 구성내용 그리고 개양공법별 유용성데 관하여 학술지나 학술발표회를 통해 발 표한 바 있는데 본문은 이어서 Sand Drain공법의 적용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를 발표한 것이다. Sand Drain공법은 점토우에 사완을 두어 성토하중에 의해 여밀을 촉진한다. 이 설계이론은 주지하다시피 Barron의 이론을 이용한 것인데 그러나 이 이론은 Terzaghi계 이론의 결함과 변형경건이 불분명하다는 것은 잘알혀진 사실이다. 그리고 사항데 대한 응력집중은 전혀 고려되어 있지 않다. 본 프로그램은 기본적으조 다차원려밀은 Biot계리론을 채택하였다. 이 다차원견밀을 해석하는테 사항의 응력집중을 해명하기 위하여 사항i61 강성을 고쳐하지 않은 경우와 고려하는 경우를 자연지반 상태의 탄밀(이차원)상태와 비교하여 응력집중이 어떻게 일어나는7'1를 고찰하였다. 이 때 모래(사항)와 성토재료는 비선형탄성모델로 생각하고 점토는 비등방성에 Creep효과를 함께 고려할 수 있는 구성방정식으로서 탄점소성모델을 채택하였다. 그 결과는 강성을 고려하는 Sand drain이 헌실적이며 동시에 그와같은 해석이나 설계도 가능하다는 것을 밟힌 것이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comparing in reference to sand drain in the next three different cases. First, The case of drain material (sand pile) has some rigidity during embankment and consolidation. Second, In usual case of no rigidity as a paper drain without permeability during embankment and consolidation Third, Check up clay behavior when above the two cases carried out respectively. This FEM analysis is consisted with Biot's consolidation equation when it is used for Christian Boehmer's numerical technique. The main results are obtained from above the Analysis When sand drain has some rigidity, the lateral and vertical deformation of clay foundation is restrained considerable amount and .exhibited bearing capacity of load as a pile According to the foundation in drained condition and untrained condition, the results are much variable in this analysis method. Also, The behaviors of stress path and pore water pressure met our expectation during , consolidation. This analysis should be considered to put into use of sand drain and design in futur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