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골수성백혈병 15예의 비장조사

Splenic Irradiation in Chronic Myeologenous Leukemia

  • 오윤경 (가톨릭의과대학 방사선치료실) ;
  • 권형철 (가톨릭의과대학 방사선치료실) ;
  • 윤세철 (가톨릭의과대학 방사선치료실) ;
  • 박용휘 (가톨릭의과대학 방사선치료실) ;
  • 김춘추 (가톨릭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동집 (가톨릭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Oh Yoon Kyeong (Division of Radiation Therapy Catholic Medical College) ;
  • Kwon Hyung Chul (Division of Radiation Therapy Catholic Medical College) ;
  • Yoon Sei Chul (Division of Radiation Therapy Catholic Medical College) ;
  • Bahk Yong Whee (Division of Radiation Therapy Catholic Medical College) ;
  • Kim Choon Ch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atholic Medical College) ;
  • Kim Dong Jip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atholic Medical College)
  • 발행 : 1985.12.01

초록

전신질환인 만성골수성백혈병(Chronic Myelogenous Leukemia: CML)에 있어서, 비장에만 국소적으로 방사선을 조사(Splenic Irradiation; SI)함으로써, 임상적 증상의 호전과 혈액소견상에 완해를 일으킨다는 것은 1903년대 이후로 알러져 있는 사실이다. 최근에 와서 Busulfan에 의한 화학요법이 주치료로서 도입되기 전까지는 SI가 CML치료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었다. 요즈음엔 비장의 방사선치료는 화학요법보다 그 결과가 좋지 못하지만, 통증을 동반한 비종대에서 증상의 완화를 위하거나, 가속기(accelerated phase)에 들어섰거나, 화학요법에 반응하지 않을 때 사용되고 있다. SI의 효과는 백혈구수의 감소, 헤모글로빈치의 상승등의 직접, 간접효과가 있으며 이 효과는 방사선치료를 끝낸 후에도 어느 기간 지속되며, 만족스런 반응을 보일 경우엔 반복치료도 시도되고 있다. 그리고 약물치료에 반응이 없었던 판자에서도 에로는 SI로 임상적 호전을 관찰할 수 있으며, SI전에 많은 치료를 받지 않았던 경우에 더 좋은 반응을 기대할 수 있음은 잘 알려져 있다. 가톨릭의대 방사선치료실에서는 화학요법도중 통증을 동반한 심한 비종대를 호소하거나, 화학요법에 반응이 없었던 15례의 CML환자에서 SI를 실시하였다. 저자들은 대상환자들의 SI전후의 임상적 증상, 이학적 소견 혈액학적 소견등의 변화 및 생존기간을 추적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Radiation therapy was the treatment of choice for CML in the past, in the form of SI or radioactive phosphorus. Its use has been replaced to a large extent by various chemotherapeutic agents. Recently SI in CML has been used, both to relieve painful splenomegaly and to take advantage of an indirect effect of SI on unirradiated bone marrow. We have treated 15 CML cases who had a huge spleen during chemotherapy or even after chemotherapy by 6 MV linear accelerator during the past two years at the Division of Radiation Therapy, Kang Nam St. Mary's Hospital, Catholic College. Response to SI has been rated according to the scoring system of Roger W. Byhardt, et al. which evaluated the splenic and hematologic response as well as the response of disease-related systems. According to this scoring system, most patients demonstrated a significant relief of splenomegaly along with improvement of hemogram. And we observed the change of Karnofsky Performance Status after SI, and survival after a confirmative diagnosis and SI.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