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경암의 방사선치료 성적

The Results of Radiation Treatment in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 이명자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 김정진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Lee, Myung-Za (Department of Radiation Therapy, College of Medicine, Han Yang University) ;
  • Kim, Jung-Jin (Department of Radiation Therapy, College of Medicine, Han Yang University)
  • 발행 : 1985.12.01

초록

1979년 7월부터 1985년 3철까지 한양대학병원에서 자궁경암의 표준화된 방사선치료기준, 즉 전 골반의 외부방사선조사와 강내조사의 병용요법으로 112명의 환자를 치료하였다. 전원이 추적 가능하였고 $6\~75$개월의 추적기간에 평균은 31개월이었다. 2명이 선암이고 110명은 펀평상피 세포암이었고 $I_b$병기 9명$(8\%)$, $II_a$병기 14명$(12.5\%)$, $II_b$ 병기 50명$(44.6\%)$, III병기 33명 $(29.5\%)$, 그리고 IV병기는 6명 $(5.4\%)$이었다. 연령분포는 30대 10명$(8.9\%)$, 40대, 50대가 다같이 41명$(36.6\%)$씩으로 $73.2\%$이고 60대 이상이 19명 $(17\%)$이며 특수하게 20세미만이 1예 있었다. 방사선치료는 전 골반에 평행대항 조사야로 $180\~200rad$를 주 5회 $4,000\~4,200rad$ 조사하였고 중앙부 4cm를 차폐하고 $600\~l,000rad$를 자궁방결합조직에 추가 조사하였다. 강내조사는 Cs-137 소선원(20mg 라디움당량)을 자궁강내 $2\~3$개 질강내 2개를 TAO Applicator로 삽입하였고 $7\~12$일 간격으로 2회 시행하였다. 치료기간은 평균 52일간이고 $40\~65$일에 걸쳐서 시행되었다. A점에 조사한 방사선량은 $6,820\~10,500rad$로 평균 8,388rad이고 B점에는 $4,850\~6,899rad$로 평균 5,898rad이었다. 생명표 5년 생존율(actuarial 5year survival rate)은 전체로 $61.8\%$이고, $I_b$병기에서 $84.6\%$, $II_a$병기는 $77.8\%$, $II_b$병기는 $56.7\%$, III병기는 $60.6\%$, 그리고 IV 병기는 $33.3\%$이었다. A점의 방사선량이 8,000rad 이상일 때는 7/18$(38.9\%)$의 실패율이었고 이에 비해서 8,000rad이상일 때는 25/94$(26.5\%)$의 실패율이었다. 또 B점 선량으로 보면 6,000rad이하에서 20/63$(34.9\%)$의 실패율에 비하여 6,000rad이상일 때는 10/49$(20.4\%)$의 실패율이었다. 연령 벨로는 $40\~49$세에서 실패율(14/41 $24.1\%$)이 많았다. 본 성적으로 보아서 생존율은 여러 저자들과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고 A점 선량은 8,000rad 이상, B점은 6,000rad이상이 조사되어야 적정선량이 됨을 시사해 주고 있다.

From July 1979 through March 1985,112 patients with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were treated by whole pelvis irradiation and intracavitary radiation with Cs-137. The treatment consisted of 3600rad-5200rad to the whole pelvis by parallel opposing portals, 5 days per week, 180-200rad per day. Parametrial boost with 400-800rad was given in 60 patients. 2 intracavitary Cs-137 radiation using TAO applicator were done with 7-10 days interval. Total treatment times were 40-65 days with average 52 days. Total dose of radiation to point A varied from 6820 to 10500rad with average 8388rad and to point B from 4850 to 6899ra0 with average 5898rad. All patients had follow up from 6 months to 75 months and median follow up of 31 months. $9(8\%)$ had stage $14(12.5\%)$ had stage IIa, $50(44.6\%)$ had stage IIb, $33(29.5\%)$ had stage III, $6(5.4\%)$ had stage IV. 110 patients had squamous cell carcinoma and 2 patients had adenocarcinoma. 5 year actuarial survival rates were $61.8\%$ for the entire group, $84.6\%$ for stage Ib,$77.8\%$ for stage IIa, $56.7\%$ for stage IIb, $60\%$ for stage III, $33.3\%$ for stage IV. RT dose to medial parametrium (point A) below 8000rad resulted in $7/18(38.9\%)$ failure (=death) in contrast to 25/94 $(26.5\%)$ failure with dose over 8000rad. RT dose to lateral parametrium (point B) below 6000ra0 yielded 20/63 $(34.9\%)$ failure compared to $10/49(20.4\%)$ failure with dose over 6000rad. Poor survival group of age were between 40-49 years with failure of $14/41(34.1\%)$. There was no increased failure rate below age of 40 with failure of $2111(13.9\%)$. The results suggest that survival is as good as other published data, and that higher doses over 8000rad to point A and 6000rad to point B should be deliver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