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cometric Properties of Waxy Starches

찰전분류의 이화학적 특성(점성)비교

  • 김형수 (연세대학교 식생활학과) ;
  • 우자원 (연세대학교 식생활학과) ;
  • 윤계순 (연세대학교 식생활학과) ;
  • 허문회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 Published : 1985.12.30

Abstract

The viscometric properties of six kinds of waxy starches of Olchal and Hankang(waxy rice), Chalborie (waxy barley), Yullmoo (waxy Job's tears), Chajoe (waxy foxtail millet), Chalsusu (waxy great millet) and Chalocsusu (waxy corn) were investigated. The increase in optical transmittance of 0.1% starch suspensions occurred at $55^{\circ}C$ for Hankang, $60^{\circ}C$ for Olchal, Chalborie, Chajoe and Yullmoo and $65^{\circ}C$ for Chalsusu and Chalocsusu, and further inrreased $70^{\circ}C$ for Hankang and Olchal, $75^{\circ}C$ for Chajoe, Chalsusu, Chalocsusu and Yullmoo and above $85^{\circ}C$ for chalborie. Amylogram on 5%, starch suspensions showed that gelatinization temperature and maximum peak height were 850 B.U. at $62^{\circ}C$ for Hankang, $65^{\circ}C$ and 980 B.U. for Olchae, $64^{\circ}C$ and 1,080 B.U. for Chalborie, and 1,410 B.U. at $69^{\circ}C$ for Yullmoo, and 1,280 B.U. at $71^{\circ}C$ for Chajoe, and 1,260 B.U. at $71^{\circ}C$for Chalsusu and 1,420 B.U. at $70^{\circ}C$ for Chalocsusu. Swelling power of starches was $38{\sim}55$, and Hankang, Olchal, Chajoe, Chalocsusu and Yullmoo starches had higher swelling power than Chalsusu and Chalborie starches. Intrinsic viscosity of them was $1.43{\sim}1.75$ and hardness of them highly relevant to the gelatinization properties.

6종의 찰곡류, 즉 찰벼 (한강 및 올찰), 찰보리, 차조, 찰수수, 찰옥수수 및 율무에서 전분을 분리하여 그들의 몇가지 점성특성에 관하여 분석 비교하였다. 광투과도에 의한 호화온도는 대략 $55{\sim}65^{\circ}C$ 범위로서 한강이 $55^{\circ}C$, 올찰, 찰보리, 차조 및 율무 $60^{\circ}C$, 그리고 찰수수와 찰옥수수는 $65^{\circ}C$에서 호화가 시작되었고, 한강 및 올찰전분은 $70^{\circ}C$, 차조, 찰수수, 찰옥수수 및 율무전분은 $75^{\circ}C$, 그리고 찰보리 전분은 $85^{\circ}C$ 이상에서 호화가 완료 되었다. Amylogram에 의한 호화개시온도는 $62{\sim}71^{\circ}C$이며, 차조, 찰수수, 찰옥수수 및 율무가 다소 높았다. 각 전분의 팽윤력은 $38{\sim}55$로서, 한강, 올찰, 차조 및 율무가 높은 편이고, 찰수수와 찰보리는 다소 낮았다. 용해도는 $9{\sim}27%$의 범위로 차조가 매우 높고, 한강 22, 올찰 21, 찰수수와 찰옥수수는 $18{\sim}19$, 찰보리 17, 율무가 매우 낮아 9였다. 고유점도는 차조 1.43, 율무 1.49, 올찰 1.58, 한강 1.60, 찰수수 1.61, 찰옥수수 1.68, 찰보리 1.75였다. 전분 gel의 질감은 올찰 및 한강이 대단히 무르고 끈기가 높았으며, 찰보리는 가장 단한하고 탄력성이 높았다. 또한 차조, 찰수수, 찰옥수수 및 율무전분 gel도 찹쌀에 비해서 상당히 단단했는데, 그중 유무가 다소 덜 단단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