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Affecting Color Loss in Plum Nectar

자두 Nectar의 퇴색(褪色)에 미치는 영향인자(影響因子)

  • Cho, Sung-Hwan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Kim, Myung-Chan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Lee, Man-Woong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조성환 (경상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 김명찬 (경상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 이만웅 (경상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Published : 1985.05.30

Abstract

The effects of various factors on the color stability of plum nectar were studied. The data showed that pH and temperature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rate of color loss. The concentration of ascorbic acid affected the rate of color loss in plum nectar. Although the color loss could be influenced by the presence of sugars and their degradation products such as 5-hydroxymethyl-2-furfural(HMF), HMF did not accumulate in sufficient amounts during the storage in the plum nectar to affect appreciably the degradation rate. The pigment was very unstable in the fermented juice and its. spectrophotometric spectrum was changed differently from that of natural plum color material. Materials present in plum nectar itself apparently have an appreciable effect on the rate of color loss.

자두넥타의 가공(加工) 저장시(貯藏時) 색깔을 안정화(安定化) 할 수 있는 방법(方法)을 마련하기 위(爲)한 기초실험(基礎實驗)으로 자두넥타로부터 색소(色素)를 추출(抽出) 정제(精製)하여 그 구성성분(構成成分)으로 anthocyanin 0.62 mg/g fruit, total phenolics 4.69 mg/g fruit을 얻었고 이 색소(色素)는 525nm 부근(附近)에서 최대흡광도(最大吸光度)를 가졌다. 자두넥타의 퇴색(褪色)에 가장 중요(重要)한 영향인자(影響因子)가 되는 것은 온도(溫度)이며, 실온(室溫)에서 500 시간(時間)에 half life를 가지던 자두색소(色素)는 $80^{\circ}C$에서는 $20{\sim}30$시간(時間)으로 격감(激減)하였다. color loss는 pH 에도 크게 영향을 받았고 산도(酸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색소(色素)의 안정도(安定度)가 증가(增加)하였다. Ascorbic acid, Cu 또는 Fe과 같은 금속이온의 첨가농도(添加濃度)가 증가(增加) 할수록 색소(色素)의 half life가 감소(減少)하며 열처리(熱處理)로 손상(損傷)된 자두넥타의 혼입량(混入量)이 증가(增加) 할수록 퇴색속도(褪色速度)가 증가(增加)하고 탄수화물(炭水化物), 분해대사물(分解代謝物)인 hydroxymethyl furfural의 함량(含量)이 증가(增加)될수록 색소손실율(色素損失率)이 증대(增大)되었다. 발효균주(醱酵菌株)의 배양(培養)에 따라 발효(醱酵)가 진행(進行)되는 동안 색소손실량(色素損失量)은 증가(增加)하였으며 추출색소(抽出色素)의 spectrum도 상이(相異)한 결과(結果)를 보여 주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