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osition, the Changes of Diastase Activity and Hydroxymethylfurfural Content During Storage of the Various Honey Samples

벌꿀의 조성(組成)과 저장중(貯藏中)의 Diastase 및 Hydroxymethylfurfural함량변화(含量變化)

  • Han, Jae-Gyeong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Kwan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Dong-Youn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Sang-Kyu (Taejon Machine Depot)
  • 한제경 (전남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 김관 (전남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 김동연 (전남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 이상규 (대전기계청)
  • Published : 1985.06.01

Abstract

The sugers and free amino acids of honey(Western and Domestic honey) and the changes of diastase activity during storage at various temperatures and HMF were studied. The average content of sugers in the western honey was 40.20% of fructose, 32.43% of glucose and 1.0% of sucrose. The average ratio of fructose to glucose was 1.24. In the case of the domestic honey, average content of sugers was 37.37% of fructose, 31.92% of glucose and 0.74% of sucrose and the average ratio of fructose to glucose was 1.19. Of the 16 amino acids detected, proline was the most predominant free amino acid in all of the honey studied, representing 39.59 to 46.86% of total free amino acids. Diastase activity of honey during the storage at $50^{\circ}C$ was rapidly decreased, but it was notably changed during storage at low temperature ($4^{\circ}C$) and room temperature ($20^{\circ}C$). The accumlated content of HMF were 0.12 to 0.47mg% during storage at 80 days at $20^{\circ}C$ and 5.35 to 8.71mg% after 3 weeks storage at $50^{\circ}C$.

양봉밀과 토종봉밀의 일반성분, 당, 유리아미노산 조성, 저장중의 diastase활성도 및 HMF 변화는 다음과 같다. 일반 성분 중 조회분은 밤꿀이 0.46%로 다른 벌꿀에 비하여 많았고, 조단백질은 양봉밀이 평균 0.10%로서 토종봉밀에 비하여 약 3.2배가 많았다. 무기물은 밤꿀에 있어서 Ca이 2.07mg%, P이 6.81mg%, Fe이 2.70mg%로 가장 많았다. 저장 중 diastase활성도 변화에 있어서 $4^{\circ}C$ 또는 $20^{\circ}C$저장 온도에서의 단기간 저장으로는 그의 활성도가 거의 감소되지 않았으며, $70^{\circ}C$에서 30분간 가열처리로 효소의 활성도가 감소되었으나 이를 $20^{\circ}C$에 저장 하였을 때는 그렇지 않은 것과 거의 동일 하였다. 양봉밀의 평균 당조성은 fructose 40.20%, glucose 32.43%, sucrose 1.09%, fructose/glucose 비는 1.24였다. 또한 토종봉밀은 fructose 37.37%, gluctse 31.92%, sucrose 0.74%였으며 fructose/glucose비는 1.19였다. 유리아미노산의 조성은 총 16종을 확인하였는데 그 중 proline함량이 가장 많아 그 함량은 총 유리아미노산의 39.59-46.86%를 차지하는 14.02-14.40mg%였다. 그러고 밤꿀에서 Phe 이 3.28mg%로 9.26%를 차지하였으며 광양산의 토종봉밀에서 Asp가 2.76mg%로 8.98%를 차지하였다. 저장 중 HMF 함량변화는 $4^{\circ}C$ 저장에 서는 거의 없었으나, $20^{\circ}C$, 80일간의 저장에서 밤꿀이 0.470mg%, 아카시아꿀이 0.336mg%, 유채꿀이 0.164mg%, 토종봉밀인 광양산이 0.426mg%, 광주산이 0.259mg%, 운봉산이 0.117mg%로 증가되었다. 또한 $50^{\circ}C$에서 3주간 저장으로 유채꿀이 8.71mg%, 아카시아꿀이 7.79mg%, 밤꿀이 5.35mg%증가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