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Electrocardiographic Time Intervals, Amplitudes and Vectors in 7 Different Athletic Groups

운동종목별(運動種目別) 선수(選手)의 심전도시간간격(心電圖時間間隔), 파고(波高) 및 벡터의 비교(比較)

  • Kwon, Ki-Young (Department of Physiology,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Won-Jung (Department of Physiology,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Hwang, Soo-Kwan (Department of Physiology,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Choo, Young-Eun (Department of Physiology,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권기영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
  • 이원정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
  • 황수관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
  • 주영은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 Published : 1985.06.30

Abstract

In order to compare the cardiac function of various groups of athletes, the resting electrocardiographic time intervals, amplitudes and vectors were analyzed in high school athletes of throwing(n=7), jumping(n=11), short track(n=8), long track(n=14), boxing(n=7), volleyball(n=8) and baseball(n=9), and nonathletic control students(n= 19). All athletic groups showed a significantly longer R-R interval(0.96-1.09 sec) than the controls (0.78 sec). Therefore, the heart rate was significantly slower in atheletes than in the control, but was not different among the different athletic groups. R-R interval is the sum of intervals of P-R, 0-T and T-P: P-R and Q-T intervals showed no difference among the control and athletic groups, but T-P interval in the jump, short track, long track and boxing group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R-B interval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P or Q-T intervals but no correlation with P-R or QRS complex. Comparing the amplitude of electrocardiographic waves, the athletic groups showed a lower trend in P wave than the controls. T wave in lead $V_5\;(Tv_5)$ was similar in the athletic and control groups. The long track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waves of $Rv_5$, $Sv_1$, and the sum of $Rv_5$ and $Sv_1$ than not only the controls but also the other athletic group. The angles of P, QRS, and T vector in the frontal and horizontal planes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control and all the athletic groups. Each athletic group stowed a lower trend in amplitude of P vector in the frontal plane, but in horizontal plane, throwing, jump, short track and baseball groups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s. The amplitude of QRS and T vector was similar in the athletic and control groups, but only the baseball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QRS vector in the frontal plane. In taken together, all the athletic groups showed a slower heart rate than the controls, mainly because of elongated T-P interval. Comparing the electrocardiographic waves and vector, the athletic groups showed lower amplitudes of P wave and P vector than the controls. Values of $Rv_5$ and $Sv_1$ strongly suggest that only the long distance runners among the various athletic groups developed a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운동종목별(運動種目別) 선수(選手)들의 심기능(心機能)을 비교(比較)하기 위하며 운동경력(運動經歷)이 3년이상(年以上)이 된 고등학교(高等學校)의 투척(投擲)(7명), 도약(跳躍)(11명), 단거리(短距離)(8명), 장거리(長距離)(14명), 권투(拳鬪)(7명), 배구(排球)(8명) 및 야구(野球)(9명) 선수(選手)와 비선수(非選手)(19명)들의 안정시(安靜時)심전도상(心電圖上)에 나타난 시간간격(時間間隔), 파고(波高) 및 vector를 비교(比較) 분석(分析)하였다. 안정시(安靜時)의 R-R(간격)間隔은 각종목별(各種目別) 선수(選手)들은$0.96{\sim}1.09$ 초(秒)로 비선수군(非選手群)의 0.78초(秒)에 비(比)해 유의(有意)한 서맥(徐脈)을 보여주었다. R-R간격(間隔)은 P-R, Q-T 및 T-P간격(間隔)의 합(合)으르 나타나는데, P-R 및 Q-T간격(間隔)은 각(各 선수군(選手群)과 비선수군간(非選手群間)에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T-P간격(間隔)은 도약(跳躍), 단거리(短距離), 장거리(長距離) 및 권투선수(拳鬪選手)들에서 비선수군(非選手群)보다 유의(有意)하게 높았다. R-R간격(間隔)은 T-P 및 Q-T간격(間隔)과 유의(有意)한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으나 P-R 및 QRS간격(間隔)과는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없었다. 심전도(心電圖)의 파고(波高)를 비교(比較)해 보면 lead $V_5$에서의 P파고(波高)$(Pv_5)$는 비선수군(非選手群)에 비(比)해서 각종목(各種目) 선수군(選手群)이 전반적(全般的)으로 낮은 경향(傾向)을 보여주었고, 특(特)히 투척(投擲) 및 도약선수군(跳躍選手群)은 유의(有意)하게 낮았다. T파고(波高)$(Tv_5)$는 투척선수군(投擲選手群)이 비선수군(非選手群)보다 유의(有意)하게 낮았으나 다른 선수군(選手群)들은 차이(差異)가 없었다. R파고(波高)$(Rv_5)$는 장거리선수군(長距離選手群)을 제외(除外)한 다른 종목선수(種目選手)들과 비선수(非選手)사이에 차이(差異)가 없었다. 장거리선수군(長距離選手群)의 $(Rv_5)$파고(波高)는 비선수(非選手)뿐만 아니라 다른 종목선수군(種目選手群)보다도 유의(有意)하게 높았다. Lead $V_1$에서의 S파고(波高)$(Sv_1)$는 선수군(選手群)과 비선수군(非選手群)사이에 차이(差異)가 없었다. $Rv_5$$Sv_1$파고(波高)의 합(合)은 장거리선수군(長距離選手群)만이 다른 종목선수군(種目選手群)들이나 비선수군(非選手群)보다 유의(有意)하게 높았으며 다른 선수군(選手群)들은 비선수군(非選手群)과 차이(差異)가 없었다. 심전도(心電圖)의 vector를 비교(比較)해 보면 P, QRS, T축(軸)의 각도(角度)는 frontal 및 horizontal plane 상(上)에서 각선수군(各選手群)과 비선수군(非選手群)사이에 차이(差異)가 없었다. P vector의 길이는 각선수군(各選手群)이 비선수(非選手)보다 낮은 경향(傾向) 나타냈으며, 특(特)히 horizontal plane에서 투척(投擲), 도약(跳躍), 단거리(短距離) 및 야구선수(野球選手)들이 비선수군(非選手群)보다 유의(有意)하게 낮았다. QRS와 T vector의 길이는 선수군(選手群)과 비선수군간(非選手群間)에 차이(差異)가 없었고, 야구선수(野球選手)만이 frontal plane에서 QRS vector의 길이가 비선수군(非選手群)보다 높았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해 보면 각종목(各種目) 운동선수군(運動選手群) 전반(全般)은 비선수(非選手)보다 유의(有意)한 서맥(徐脈)을 나타내며 이는 주로 T-P 간격(間隔)이 길기 때문이다. 파고(波高)의 높이와 vector를 비교(比較)해 볼때 각종목(各種目) 운동선수(運動選手)는 전반적(全般的)으로 비선수군(非選手群)보다 P파(波)가 낮았다. 특(特)히 장거리선수군(長距離選手群)은 다른 종목(種目) 선수군(選手群)이나 비선수군(非選手群)보다 $Rv_5$$Sv_1$파고(波高)의 합(合)이 유의(有意)하게 높았으므로 좌심실(左心室)이 비대(肥大)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장거리선수(長距離選手)들이 다른 종목선수(種目選手)들에 비(比)해 더 우수(優秀)한 스포츠심장(心臟)임을 시사(示唆)해 주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