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활동에 있어서의 비공식 커뮤니케이션

Informal Communication in Research Activities

  • 투고 : 1984.12.18
  • 발행 : 1984.12.31

초록

연구자들은 정보폭발에 대처하고 또 공식 커뮤니케이션으로 충족되지 않은 정보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비공식 커뮤니케이션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정보제공이라는 정보시스팀의 궁극적인 목표달성을 위해서는 비공식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져 공식채널이 갖지 못한 비공식채널이 기능을 공식시스팀에 적용시키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도 이 방면에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져 정보서비스의 효율화, 나아가서 과학 기술의 발전이 촉진될 수 있기 위하여 그 기초작업으로서 연구활동에서 비공식 커뮤니케이션의 의의 및 기능, 비공식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사회조직인 비공식연구집단, 비공식 커뮤니케이션의 공식화 등을 문헌연구를 통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paper is (1) to clarify the significance and the role of informal communication in research activities, (2)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Invisible College, the social organization for informal communication, and its effect on research activities and (3) to pay consideration to formalization of informal communication systems. To comprehend all the things is necessary to improve information servic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