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Textile Industry on the Workers' Blood Pressure

섬유공장(纖維工場)의 소음(騷音)이 근로자(勤勞者)들의 혈압(血壓)에 미치는 영향(影響)

  • Lee, Jong-You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이종영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1984.10.01

Abstract

To assess the effect of noise on the blood pressure of workers, 70 weaving and 70 refining female workers in 15 to 24 years of ages were tested for the changes of blood pressure before and after exposure to the noise. The noise levels at work place were 99 dB (A) for weavers and 80 dB(A) for refiners. The mean age of refiners was 17,7 years and that of weavers was 18.6 years, and the difference in mean ag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The means of heights, weights and working dura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The mean systolic blood pressure of the weavers was 112.5mmHg before exposure to the noise and it was increased to 115.7mmHg after exposure to 99 dB(A) of noise for 30 minutes, and the mean diastolic blood pressure from 71.6mmHg to 74.1mmHg. These increments of blood pressure were statististically significant (p<0.05). The mean systolic blood pressure of the refiners was decreased from 108.9mmHg to 106.7mmHg after exposure to 80 dB(A) of noise for 30 minutes, and the mean diastolic blood pressure from 67.3mmHg to 67.1mmHg. These changes of blood pressu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ean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of the weavers before exposure to the nois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refiners (p<0.05). The difference of blood pressure between refiners and weaver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noises (p<0.05), and not ages and their interactions. The study results support the hypothesis that exposure to excessive noise increases the blood pressure of workers.

작업장소음(作業場騷音)에 의한 실제 근로자혈압변화(勤勞者血壓變化)의 양상을 파악(把握)하기 위하여 1983년 6월 8일부터 2주간 모(某) 섬유업체의 기숙사에서 생활(生活)하는 건강(健康)한 여성(女性) 근로자(勤勞者)들 중에서 기직공(機織工) 70명(名)과 가공공(加工工) 70명(名)을 대상(對象)으로 작업(作業) 전(前)과 30분(分) 후(後)의 혈압(血壓), 연령(年齡), 근무년수(勤務年數), 신장(身長), 체중(體重) 그리고 작업장소음(作業場騷音)에 대해 조사(調査) 분석(分析)하였다. 작업환경(作業環境)의 소음(騷音)은 가공부(加工部)에서 평균 80dB(A), 기직부(機織部)에서 평균99dB(A)였다. 일반적 특성에 있어 연령(年齡)은 가공공(加工工) 17.7세(歲), 기직공(機織工) 18.6세(歲)로 유의한 차(差)가 있으나(p<0.05), 신장, 체중 그리고 근무년수는 양 군(群)사이에 유의한 차(差)가 없었다. 수축기와 이완기의 평균혈압(平均血壓)은 각각 가공공(加工工)에서 108.9mmHg, 67.8mmHg, 기직공(機織工)에서 112.5mmHg, 71.6mmHg로 양 군(群)사이에 유의한 차(差)를 보였다(p<0.05). 작업(作業) 전(前)과 30분(分) 후(後)의 혈압변화(血壓變化)가 가공공(加工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기직공(機織工)에서는 수축기 3.2mmHg, 이완기 2.5mmHg의 유의한 증가(增加)를 보였다.(p<0.05) 혈압(血壓)에 대한 이원변량분석에서는 소음(騷音)에 의한 영향만이 유의하였고(p<0.05), 연령(年齡)과 이들의 상호작용(相互作用)에 의한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소음(騷音)이 근로자(勤勞者)들의 혈압증가(血壓增加)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므로 소음작업(騷音作業) 근로자(勤勞者)들의 건강관리(健康管理)를 위해서는 작업장소음(作業場騷音)의 감소, 이보호구(耳保護具)의 사용(使用), 정기적인 혈압변화(血壓變化)의 관찰 그리고 고혈압(高血壓) 소질자(素質者)의 소음작업(騷音作業)의 제한 등의 대책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