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reaform, SCU, Melamine의 질소공급력(窒素供給力)과 보리 생육(生育)에 대(對)한 효과(效果)

Effect of Ureaform, SCU and Melamine on Barley Growth and their Nitrogen Supplying Ability

  • 임선욱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 오남순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Lim, Sun-Uk (Department of Agricultural Chemistry,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l. University) ;
  • Oh, Nam-Soon (Department of Agricultural Chemistry,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l. University)
  • 발행 : 1984.09.25

초록

본 시험은 우리나라의 밭 토양조건에서 몇 가지 완효성 질소질 비료의 보리에 대한 질소 공급효과를 시험하고저 한 것이며 공시비료는 황입힌 요소 SCU, ureaform, melamine 등의 완효성 질소비료와 대조로써 요소를 사용하였으며 질산화 저해제로는 thiourea를 처리하였다. 토양조건은 수분함량, pH 그리고 온도를 달리하여 사질양토의 보통 밭토양으로 pot시험 및 실내 배양시험하여 질소 공급력과 보리의 생장에 대한 효과를 생육시기별로 조사하여 얻은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 보고한다. 완효성 질소질비료의 공급능력을 조사한 항온처리 실험에서 항온처리의 초기 2주에서 암모늄태질소로의 최고 전환율을 보였으며, urea, SCU, ureaform 순으로 27~59%, 25~39%, 9~34%이었고 melamine은 5주동안 0.7~4.3%의 낮은 분해를 보였다. 질산화작용에 의한 $NO_3-N$의 생성은 pH6.54와 pH5.84에서는 유사하였으며 pH6.54는 pH4.73보다 더 많은 양이 생성되었다. 토양수분은 암모니아화작용과 질산화작용에 큰 영향을 미쳐 수분함량 20%가 풍건상태보다 $NH_4-N$$NO_3-N$ 생성이 많았다. Thiourea는 4주까지는 질산화작용을 현저히 억제하였고 그 이후에 $NO_3-N$ 생성량이 증가하였으나 thiourea 무처리보다는 적었다. Pot시험으로 조사된 전 생육기 (출수후 유숙기까지)에 걸친 질소공급력은 SCU, urea가 ureaform, melamine 보다 높았으며 파종전 melamine 처리는 작물에 대하여 장애를 일으켰다. urea에 thiourea 혼합처리는 속효성으로 인한 urea의 과잉 질소 공급을 억제하여 보리의 후기생육에 도움을 주었으며 완효성 질소질비료에 소량의 urea 혼합처리는 조사된 생육기간 동안 질소공급에 크게 기여하였다.

To investigate nitrogen supplying effect of some slowrelease N-fertilizers on barley in upland soil sulfurcoated urea(SCU), ureaform and melamine (1,3,5-Triazine-2,4,6-triamine) were treated and compared to urea. In addition, thiourea as a nitrification inhibitor was also tested. Effects of variable soil condition such as moisture content, pH and temperature on nitrogen supplying ability of the fertilizers and on growth of barley were studied through incubation test and pot culture and the obtained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leasing rate of ammonia from urea, SCU, ureaform and melamine were resulted as 27-59%, 25-39%, 9-34% and 0.7-4.3% at maximum conversion rate, respectively. Nitrification rate of the tested fertilizers was higher at pH 6.54 markedly than at pH 4.73. Addition of thourea depressed the formation of $NO_3$ during four weeks of incubation period. Mixed application of ureaform with small amount of urea contributed to nitrogen supply till latter growth stage of barely Basal application of melamine showed lowest nitrogen supplying ability and injurious response on barley growth.

키워드